【코코타임즈】 반려동물 양육가구와 사회적 관심이 지속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전북 차원의 반려동물 복지산업과 연관산업을 정책적으로 육성해야 한다는 제안이 나왔다.
전북연구원은 8일 ‘전북형 반려동물 복지 및 연관산업 육성(안)’이란 이슈브리핑을 발표하고 이미 구축돼 있는 전북의 우수 인프라를 활용해 반려동물 보호와 복지 향상, 연관 산업 육성에 대한 미래 방향을 제시했다.
연구원은 지난 2018년 23.7%였던 전국 반려동물 양육가구 비중이 2025년에는 31.3%까지 확대될 것으로 예측되지만 관련 문화 성숙도는 더딘 상태라고 지적했다.
하지만 전북의 경우 동물보호센터와 운영 인력, 동물복지 축산농장 인증 등 인프라가 전국 최고 수준인 만큼 반려동물 복지를 선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반려동물 시장 규모 성장 예측과 정부의 관련 산업 육성 정책 확대 등을 고려할 때 연관 산업의 육성에도 집중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연구원은 이를 바탕으로 단계별 추진전략을 제안했다.
1단계는 동물보호·복지 향상 전략으로 유기동물 입양·구조, 길고양이 중성화 수술 등 계속 사업 지속 추진, 반려동물 생산·유통·판매업 합동 지도감독 강화, 동물교육보호센터 조성, 동물보호 문화·반려동물 산업 축제 확대 등을 제시했다.
2단계는 반려동물 여가·복지 생태계 조성 전략으로 소규모 놀이터 조성, 복합 문화 공간 구축, 동물교감 치유단지 조성, 국가유공견 명예의 전당 건립 등을 제안했다.
3단계는 반려동물 연관 산업 육성 전략으로 동물용의약품 클러스터 구축, 건강 기능성 펫푸드 산업 플랫폼 구축, 펫푸드·애완용품 등 산업화 지원, 반려용품 전시·판매장 설치 등의 필요성을 언급했다.
전북연구원은 8일 ‘전북형 반려동물 복지 및 연관산업 육성(안)’이란 이슈브리핑을 발표하고 이미 구축돼 있는 전북의 우수 인프라를 활용해 반려동물 보호와 복지 향상, 연관 산업 육성에 대한 미래 방향을 제시했다.
연구원은 지난 2018년 23.7%였던 전국 반려동물 양육가구 비중이 2025년에는 31.3%까지 확대될 것으로 예측되지만 관련 문화 성숙도는 더딘 상태라고 지적했다.
하지만 전북의 경우 동물보호센터와 운영 인력, 동물복지 축산농장 인증 등 인프라가 전국 최고 수준인 만큼 반려동물 복지를 선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반려동물 시장 규모 성장 예측과 정부의 관련 산업 육성 정책 확대 등을 고려할 때 연관 산업의 육성에도 집중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연구원은 이를 바탕으로 단계별 추진전략을 제안했다.
1단계는 동물보호·복지 향상 전략으로 유기동물 입양·구조, 길고양이 중성화 수술 등 계속 사업 지속 추진, 반려동물 생산·유통·판매업 합동 지도감독 강화, 동물교육보호센터 조성, 동물보호 문화·반려동물 산업 축제 확대 등을 제시했다.
2단계는 반려동물 여가·복지 생태계 조성 전략으로 소규모 놀이터 조성, 복합 문화 공간 구축, 동물교감 치유단지 조성, 국가유공견 명예의 전당 건립 등을 제안했다.
3단계는 반려동물 연관 산업 육성 전략으로 동물용의약품 클러스터 구축, 건강 기능성 펫푸드 산업 플랫폼 구축, 펫푸드·애완용품 등 산업화 지원, 반려용품 전시·판매장 설치 등의 필요성을 언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