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묘주 다니엘 크럴 씨(좌측)과 반려묘 '트러플'(우측) 수줍음 많은 어린이가 오면 ‘트러플의 안경을 보라’면서 안경에 익숙해지도록 한다. 그 다음 “이제 트러플한테 네 안경도 보여줘”라며 아이 스스로 안경을 써 보도록 유도하는 것. 처음에는 조산아들에게 맞춰 제작된 초소형 안경을 씌워 보았다. 트러플의 얼굴에 딱 맞는 사이즈였기 때문. 이제는 트러플도 안경에 적응한 상태라 주고객(?)인 어린이들에게 맞는 안경을 쓰고 있다. 하지만 처음에는 트러플도 새 안경에 적응하지 못했다. 녹색 테가 마음에 들지 않는지 시무룩해하는 트러플을 위해 크럴 씨는 테를 원석으로 장식했다. 이렇게 트러플만을 위한 맞춤 안경이 완성했다.
사진 출처: 인스타그램(@truffles_the_kitty) 묘주 크럴 씨에 따르면 “트러플은 붙임성 좋고 사람들한테 관심 받기 좋아하는 성격이라 도우미로 딱”이라고 한다. 크럴 씨는 2년 전 유기묘 트러플을 입양했다. 그때는 이 녀석이 이런 복덩어리가 될 줄은 몰랐다.
사진 출처: Pixabay 안경 만큼이나 시력 검사를 겁내는 아이들도 많다. 시력검사표에 있는 기호가 무엇인지 몰라서 당황하는 경우도 있다. 눈에 보이기는 하는데 저게 무슨 표시인지 몰라 답하지 못하는 것. 크럴 씨는 정확한 시력 검사를 위해 몇 달에 걸쳐 트러플에게 이 기호들을 가르쳤다. '특별훈련' 끝에 이제 트러플에게 시력 검사표에 있는 기호 이름을 말하면 앞발로 그 기호를 정확히 가리킨다.
사진 출처: 페이스북(@achildseyes) 크럴 씨는 미국에서 유일한 소아청소년 전문 검안사다. 크럴 씨는 어린이 환자만 보는 이유에 대해 “태어나 처음으로 안경을 써 보는 환자들을 만나는 것이 즐겁다”고 밝혔다. 다 큰 어른 중에서도 병원을 무서워하는 사람들이 많다. 우리 동네 병원에도 이런 고양이가 있다면 병원 가는 것이 훨씬 즐겁지 않았을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