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코타임즈(COCOTimes)】 미얀마가 원산지인 버미즈(Burmese) 고양이는 승려들의 반려동물로 신성한 대접을 받았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1919년도, 한 쌍의 버미즈 고양이가 프랑스로 향하는 배에 몰래 실려 가던 중 긴 항해의 악조건을 견디지 못하고 수컷 고양이가 배 안에서 죽게 된다. 다행히도 임신한 채로 살아남았던 암컷 고양이는 무사히 프랑스까지 도착하게 되었고 이 암컷 고양이의 생존이 버미즈 고양이가 유럽에 자리를 잡는 계기가 된 것이다. 얼굴과 몸이 전체적으로 둥글둥글해 보이는 특징이 있으며 체격은 크지 않아도 골격이 튼튼하고 근육이 발달해 있어 무게는 보기보다 많이 나가는 편이다. 발리니즈 고양이와 비슷해 보이기도 하지만 버미즈 고양이는 발바닥에 대칭적인 하얀 무늬가 양말을 신은 것처럼 보여서 흰 양말 신은 고양이라는 애칭도 가지고 있다. 초기의 버미즈는 대부분 갈색 털을 가지고 있었으나 현재는 초콜릿색, 붉은색, 푸른색, 크림색 등 다양한 털 색깔을 지니고 있다. 털 길이는 짧고 부드러운 편이다. 버미즈 고양이는 1925년에 프랑스 고양이 등록 단체에 별도 품종으로 인정받았으며, 영국에서는 1966년, CFA에서도 1967년 승인을 받았
【코코타임즈(COCOTimes)】 경기도가 생태계 보존을 위해 노랑부리백로, 두루미 등 지역 생태계를 대표하는 야생동물 31종을 ‘경기도 깃대종’으로 지정했다. 도가 깃대종을 지정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깃대종(Flagship species)이란 지역 생태계를 대표하며 보호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되는 생물종으로 생태적·지리적·사회적·문화적 특성을 반영하는 상징적 생물종을 말한다. 경기도는 관련 용역을 통해 31개 시군별 출현종 및 멸종위기종 등 보호가치가 있는 종을 후보종으로 선정하고, 야생생물에 대한 전문가 자문을 통해 시군 상징물, 특이종 등을 반영한 경기도 깃대종을 지정했다. 깃대종 수는 31개 시군을 상징해 31종으로 했다. 이번에 지정된 깃대종은 경기도의 산림, 습지, 하천, 해안 등 다양한 환경에 걸쳐 분포하는 야생동물 31종으로 ▲포유류 7종(오소리, 멧토끼, 수달, 하늘다람쥐, 삵, 족제비, 담비) ▲조류 13종(흰눈썹황금새, 알락꼬리마도요, 청딱다구리, 크낙새, 노랑부리백로, 검은머리물떼새, 수리부엉이, 저어새, 큰고니, 동고비, 독수리, 흰꼬리수리, 두루미) ▲양서류 4종(수원청개구리, 금개구리, 맹꽁이, 도롱뇽) ▲무척추류 7종(말똥개,
【코코타임즈(COCOTimes)】 아메리칸 밥테일(American Bobtail)은 1960년대 후반 미국 애리조나주의 인디언 보호 구역에서 처음 발견된 고양이이다. 샴고양이와 꼬리가 짧은 미국의 야생 고양이를 교배시켜 반은 짧고 반은 긴 꼬리의 고양이들을 탄생시켰다. 이때 태어난 고양이 중 짧은 꼬리를 가진 고양이를 꼬리가 긴 고양이와 다시 교배시켰고, 그 사이에서 태어난 새끼 고양이들은 모두 꼬리가 짧게 태어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고 한다. 에반스라는 고양이 애호가와 그의 동료들은 짧은 꼬리의 우성 인자를 인지하게 되었고 미국에 생존하는 야생고양이의 활기찬 이미지에 성격은 상냥하고 붙임성 좋은 아메리칸 밥테일을 완성시켰다고 한다. 국제 고양이 협회 (International Cat Association)는 아메리칸 밥테일을 1989년 새로운 품종으로 받아들였고 2002년에는 완전히 인정해주게 되었다. 이후 고양이 애호가 협회 (Cat Fanciers Association)와 미국 고양이 애호가 협회 (American Cat Fanciers Association)에서도 아메리칸 밥테일을 독립된 품종으로 연이어 인정해 주게 되었다. 일반 고양이보다 ½전후의
【코코타임즈(COCOTimes)】 올해로 12살 된 시츄 ‘뽀미’는 얼마 전부터 밤만 되면 거실을 서성거리곤 한다. 가끔은 가구 틈새에 고개를 처박고 오도 가도 못하는 모습도 보이는가 하면, 한 곳에서 빙글빙글 돌기도 한다. 또, 가족 발소리만 듣고도 누구보다 먼저 현관 앞에 달려가 가족을 반기던 뽀미는 온데간데 없어졌다. 가족이 집에 들어와 뽀미를 부르면 그제야 한 번 아는 체할까 말까. 단순히 나이 들었기 때문이라고 치부하기에는 이상한 점이 한둘이 아니다. 뽀미가 이상행동을 보이는 건 치매 때문 "치매의 대표적인 증상으로는 낮에 자고 밤에 활동하는 수면 사이클 변화, 목적성 없이 방황하는 모습, 벽이나 가구 틈새에 머리를 박고 오도 가도 하지 못하는 모습, 가족에 대한 애착 저하, 활동량 저하, 대소변 실수, 불안감, 식욕 부진 혹은 왕성한 식욕, 반응 감소 등이 있다."(미국애견협회 AKC) 치매가 진행되기 시작하면 완치는 기대할 수 없다. 하지만 치매가 발생한 개의 생활환경 개선 여부에 따라 진행 속도를 늦추거나 완화할 수도, 삶의 질을 유지해 줄 수도 있다. AKC는 "개의 치매 완화·치료를 위해 오메가3와 멜라토닌 등의 영양분 보충과 활동량 증가가
【코코타임즈(COCOTimes)】 반려견 소변에 피가 섞여 나온다면? 보통 비뇨기에 결석(돌)이 생긴 것이 원인이다. 결석은 크게 방광, 콩팥, 요관, 요로에 생기는 것으로 나뉘는데, 그중 방광에 생기는 ‘방광결석’이 가장 흔하다. 방광에 소변이 차있을 때는 괜찮은데, 소변이 빠지면 결석이 방광벽을 긁으면서 출혈을 유발한다. 특히 소변을 본 후 마지막에 피가 뚝뚝 떨어지는 경우라면 방광 결석일 확률이 높다. 결석이 생기는 이유는 무엇일까? 유전적인 소인이 영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편식하는 반려견에게 잘 생긴다. 결석을 잘 생성하는 칼슘이나 인을 과도하게 섭취하거나, 물을 너무 안 마시는 경우에도 결석이 잘 만들어진다. 물을 많이 마시지 않으면 체내 노폐물이 잘 빠져나가지 않으면서 결석의 핵(核)을 이루고, 여기에 다른 노폐물들이 달라붙으면서 결석이 되는 것이다. 결석의 크기가 작을 때는 저절로 빠져나오기도 한다. 반려견의 소변이 산성인지 알칼리성인지 파악해 약물로 산도를 조절하면서 결석 크기를 줄이는 방법도 있다. 하지만 결석을 제거하는 것이 가장 확실한 치료법이고, 결석이 소변이 나오는 통로, 즉 요관을 막았을 때는 수술이 필수다. 결석이 소변 길을 막아
【코코타임즈(COCOTimes)】 엑조틱(Exotic) 고양이는 1950년대 후반 페르시안과 아메리칸 숏헤어가 만나 탄생한 품종이다. 엑조틱 고양이의 외모는 아메리칸 숏헤어 보다 페르시안을 많이 닮아 짧고 매끄러운 털을 가지고 있다. 엑조틱 고양이의 털은 온몸에 빽빽하게 나 있어 손으로 만지면 아주 부드러운 융같이 기분 좋은 감촉을 느낄 수 있다. 털 색깔은 크림색, 초콜릿색, 그레이, 블루, 블랙 등 페르시안 고양이와 흡사하며 줄무늬의 털이 보이는 엑조틱도 있다. 엑조틱은 엉킴을 방지하기 위해 매일 털을 빗질해줘야 하는 수고로움이 필요한 고양이다. 부드럽고 상냥한 성격이고 혼자 있는 것 보다는 주인의 가족 옆에 있는 것을 좋아한다. 친화력이 좋아 다른 애완동물과도 잘 어울리는 편이지만 생활 환경이 바뀌어도 쉽게 동요하지 않는 차분함도 있다. 콧구멍이 짧아 열에 민감하고 온도가 많이 올라가면 호흡에 문제가 생길 수도 있다. 고양이 애호가 협회(Cat Fanciers Association.CFA)에서는 1967년에 품종을 인정받았으며, 1991년에는 CFA의 올해의 고양이(Cat of the Year)가 되기도 했다. 우리나라에는 영화 '가필드'에 등장한 매력
【코코타임즈(COCOTimes)】 경기도는 7일 경기도의회 회의실에서 반려동물 복지정책의 발전을 위한 ‘반려동물 복지수준 실태조사 연구용역’ 자문위원회 중간회의를 개최했다. 올해 6월 도내 반려동물 복지수준 실태조사에 대한 연구용역을 착수한 이후 그간 추진상황을 점검하는 이번 회의에선 ▲경기도 반려동물 복지수준 실태조사 및 복지지표 개발 ▲동물보호센터 운영 및 관리 표준업무절차 개발 ▲경기도형 반려동물 연관산업체 인증제 도입 방안 마련 ▲반려동물 복지수준 개선 방안 마련 등 연구에 대한 중간점검을 실시하고 관련 자문위원들의 정책 개발 방향에 대한 의견을 청취했다. 자문위원회 위원인 경기도 농정해양위원회 방성환 위원장은 “반려동물은 삶의 중요한 일부이며, 동물복지는 인간 행복의 핵심 요소”라며 “경기도는 이번 용역을 통해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동물복지 향상을 위해 최대한 힘쓸 것”이라는 의견을 제시했다. 도는 반려동물 복지정책 내용을 담은 연구용역을 내년 4월 중 마무리할 예정이며, 관련 수의학, 동물복지, 법률, 사회정책 등 다양한 분야에서 전문가들의 의견을 지속적으로 수렴할 예정이다. 또, 연구 용역의 결과를 토대로 ▲도내 반려동물 복지수준 평가를 위한 복지
【코코타임즈(COCOTimes)】 버밀라(Burmilla) 고양이는 1981년 수컷 친칠라 페르시안 고양이와 암컷 라일락 버미즈 고양이 사이에서 나온 네 마리의 새끼 고양이에서 그 유래가 시작되었다. 친칠라와 버미즈는 원래 각자 다른 방에서 같은 품종의 고양이와 교배를 준비하고 있었지만 청소원의 실수로 밤에 문이 열려 있게 되었고 이 두 마리의 고양이는 그 틈에 만나 새로운 품종을 탄생시키게 된 것이다. 새끼 고양이의 외모는 친칠라보다 버미즈 고양이를 닮았고 호기심 많고 우호적인 성향도 버미즈쪽 기질을 가졌지만, 은빛의 반짝이고 윤기 나는 털은 친칠라의 유전자를 더 받은 듯하다. 버밀라는 차분하고 우아하지만 호기심과 모험을 좋아하는 성격이다. 사람과 잘 어울리며 안기고 애교 부리는 것을 좋아하지만 시끄럽거나 말썽부리는 일은 거의 없다. 털 색상은 블랙, 브라운, 초콜릿, 라일락, 블루 등이며 눈빛도 금색부터 초록색까지 다양하다. 똑바르게 곧은 등은 버밀라의 몸을 단단하고 근육질로 보이게 해주는 매력이 있다. 다리는 중간 길이이고 뒷다리는 앞쪽 다리보다 약간 길다. 앞발은 타원형이며 꼬리는 끝이 약간 둥글고 가늘다. 또한, 버밀라 고양이는 입술과 코끝, 눈꺼플
【코코타임즈(COCOTimes)】 허배너스(Havanese)는 1492년 스페인이 서인도제도를 식민지하는 과정에서 쿠바로 들여온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지중해 연안에 살던 비숑 프라제와 이탈리아가 원산지인 볼로니즈 등의 교배로 탄생한 견종으로써 처음에는 서커스단에서 재롱떠는 강아지로 사랑받았었지만, 고급스러운 외모 덕분에 1800년대에는 쿠바의 귀족과 왕족들의 애완견으로 더 유명해지게 됐다. 그 뒤로 쿠바혁명 당시 허배너스의 대부분이 해외로 반출된 후, 현재까지 원산지인 쿠바에서는 쉽게 볼 수 없는 희귀종이 되었다. 하지만, 쿠바 혁명 당시 미국으로 건너갔던 11마리의 허배너스를 시조로 미국 허배너스 클럽(The Havaness Club of America)의 지속적인 노력 덕분에 미국에서는 현재까지도 많은 사랑과 보호를 이어가는 중이다. 미국 켄넬 클럽(AKC)에는 1995년에 정식 견종으로 등록됐다. 허배너스는 다리는 짧지만, 몸놀림이 야무지며 귀엽고 사랑스러운 외모를 하고 있다. 털은 길고 곧으며 약간의 곱슬거림이 있는 이중모이다. 크림색과 흰색, 초콜릿색, 검은색, 금색, 은색 등 다양한 털 색을 가지고 있다. 허배너스의 가장 큰 특징인 풍성한 장식털
【코코타임즈(COCOTimes)】 반려동물 건강을 지키는 첫 단계는 건강검진도, 영양제나 값비싼 사료도 아니다. 바로 반려동물 컨디션을 살피는 일이다. 심리적 컨디션은 물론, 얼굴과 몸 구석구석을 살펴보고, 작은 이상을 조기에 발견한다면 전문가에게 조언을 구하도록 한다. 질병 조기발견이 삶의 질을 크게 좌지우지한다. 발바닥, 발톱 발바닥 패드가 말랑말랑하다. 발톱은 적정 길이를 유지하고 있다. 만약 발톱이 너무 길어서 바닥에 닿거나 긴 발톱으로 인해서 발가락이 휘어 있다면 보행 이상이나 관절을 일으킬 수 있다. 발바닥 패드는 너무 건조하면 갈라지고 다칠 수 있다. 발가락 사이가 붉고 자꾸 깨물고 핥는다면 피부질환을 의심해봐야 한다. 항문 깨끗하고 악취가 나지 않는다. 항문낭을 짤 경우, 항문낭액에서 냄새가 나기는 하지만, 항문 주변에 이상이 없다면 정상이다. 만약 항문이 붉거나 부풀어 있으면, 항문 혹은 항문낭 질환일 수 있다. 대변에 고름이나 피가 섞여 있거나 배변 활동이 원활하지 못한 모습, 탈장 상태, 항문을 바닥에 대고 질질 끄는 모습을 보일 때는 수의사에게 문의해보도록 한다. 피부, 피모 피부는 연분홍빛이나 옅은 살굿빛을 띠고 모발에 윤기가 흐른다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