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려동물과 나들이를 위해 이동장이나 이동가방을 구매하는 소비자들이 늘어나고 있다. 특히 최근 들어서는 캐리어·유모차가 인기를 끌고 있다. 하지만 어떤 경우엔 아이들에게 나쁜 영향을 끼칠 수 있다. 모양이나 형태에 따라 반려동물의 관절에 무리를 주는 경우가 있어 신중하게 선택해야 한다는 것. 9일 G마켓에 따르면 반려동물과 여행, 피크닉을 즐기는 사람들이 늘면서 반려동물 외출 용품 판매량도 꾸준하게 늘고 있다. 지난해 12월7일부터 1월6일까지 목줄·가슴줄 판매량은 전년대비 45% 증가했다. 캐리어·유모차 20%, 자동리드줄은 12%, 이동가방·이동장 4%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그중 이동가방·이동장은 항상 잘 팔리는 '스테디 셀러'다. 이동가방·이동장은 유모차에 비해 가격적으로 부담이 없고 목적에 따라 선택할 수 있도록 디자인도 다양하다. 우선 반려견을 키우는 보호자들이 가장 흔하게 사용하는 것이 '백팩' 또는 '슬링백'이다. 반려견을 어깨에 메고 양손을 편하게 사용할 수 있어 선호도가 높다. 하지만 높이가 높은 백팩은 개들이 밖을 쳐다보려는 과정에서 뒷다리로 계속 서 있게 되고, 슬링백의 구조상 네 다리가 구부러지는 형태로 되기 때문에 장시간 이용은 피하
반려동물 시장이 커지면서 반려용품에도 임대(rental)를 통한 '공유경제' 바람이 커지고 있다. 매달 얼마씩 내고 여러 가전제품들을 사용해볼 수 있게 된 것. 이처럼 다양한 상품 경험 기회는 올바른 반려동물 문화 확산, 반려동물 관련시장 성장 등 선순환 효과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붐펫 쿠쿠 등 '펫용품 렌탈시장' 확산 30대 직장인 A씨는 퇴근 후 먼지로 뒤덮힌 반려견을 공들여 씻기고 말리느라 곤욕을 치러왔다. 그러다 한 방송에서 물에 흠뻑 젖은 반려견을 건조기로 말리는 장면을 보고 A씨는 무릎을 쳤다. 제품 정가가 100만원대에 가까워 직접 구매는 부담스러웠지만, 월 2~3만원대 렌털 서비스 덕분에 반려견 목욕시간을 크게 절감할 수 있게 됐다. 이처럼 안정적 수익창출이 가능한 렌털 서비스 시장 선점을 위해 유명 가전·유통 업체들의 경쟁은 갈수록 치열해지고 있다. 쿠쿠전자는 지난해 6월 반려동물 제품 브랜드 '넬로'를 론칭하고 '펫 에어샤워 & 드라이룸'을 출시했다. 반려동물의 젖은 털을 트윈팬의 360도 입체 바람으로 30분 내 건조하고, 초미세먼지 집진필터로 산책 후 털에 묻은 미세먼지 등을 털어주는 에어샤워 기능을 갖춘 제품이다. 쿠
【코코타임즈】 반려동물 전용 가전제품과 식품분야 신제품들이 잇따라 쏟아지고 있다. 특히 최근의 경기 불황에도 반려견 반려묘에게만은 돈을 아끼지 않는 반려인들이 크게 늘면서 고급 제품들까지 러시를 이루며 반려인들 선택의 폭이 확 넓어졌다. 이에 따라 펫시장은 매년 10% 이상 성장하면서 오는 2027년 정도면 무난히 6조 원 시장에 도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2일 펫산업계 따르면 최근 중소·중견 가전업체들이 대거 반려동물 가전 브랜드를 선보이며 시장 공략에 나서고 있다. 식품업계에서도 전용 메뉴를 출시하고 있다. 최근 가장 적극적인 행보를 보이는 기업은 종합생활가전 '쿠쿠'. 지난 6월 펫 전용 가전 브랜드 '넬로'(Nello)를 출시하며 반려동물 용품 시장에 본격 진출했다. 넬로의 첫 상품은 '펫 에어샤워 앤 드라이룸'. 목욕 후 30분 이내의 빠른 드라이가 가능하고, 산책 후 미세먼지 등 각종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에워샤워'같은 다양한 기능을 갖췄다. 펫 건강과 생활 편의까지 생각한 것. 쿠쿠는 또 반려동물의 털과 먼지 등을 빠르게 흡입하는 '인스퓨어 펫 전용 공기청정기'도 선보였다. 펫 전용 필터를 더해 내부 청정필터를 보호하고, 유해 물질과 악취까지 정
【코코타임즈】 반려동물에게도 ‘의식주’는 똑같이 중요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반려동물 ‘의식주’와 관련된 제품들에 반려인들 관심이 높습니다. 하지만 반려 동물의 ‘주’에 대한 한정적인 시선이 분명히 존재했습니다. 지금까지의 평범한 개집이나 방석, 요람 정도가 아닌 정말 사람과 반려동물이 함께하는 '펫테리어'(Pet+Interior)가 열풍입니다. 반려동물은 사람과 신체 구조나 라이프스타일이 다르기 때문에 사람과 함께 생활하는 반려동물을 위한 인테리어의 필요에 의해 '펫테리어'가 시작됐습니다.우리에겐 편리한 공간이 반려동물들에게는 굉장히 불편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미끄러운 바닥재는 싫어요! 반려동물들이 집에서 활동할 때에 미끄러운 바닥에 자주 미끄러지는 모습 보셨겠죠? 미끄러짐이 계속되면 반려동물의 관절에 무리를 주어 탈구나 관절 질환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특히나 어린 견종이나 노견의 경우에는 미끄러짐 사고 인해 부상을 당하는 경우가 많다고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는 인테리어가 중요합니다. 미끄럼 방지 기능을 강화한 바닥재나 표면의 질감이 도드라지는 바닥재를 시공하면 반려견이 미끄려지는 것을 방지하고 쿠션층이 도톰한 바닥재를 사용하면
【코코타임즈】 올해 6월 말 기준 우리나라 자동차 누적 등록대수는 2천288만여대(국토교통부 자동차관리정보시스템 VMIS). 우리나라 인구가 약 5,천163만 명인 걸 감안하면 국민 두세명당 1명은 자동차를 보유하고 있는 것이다. 교통사고 또한 우리 주변에서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다. 좌석 안전띠 착용규정이 점점 강화되는 것도 그런 이유에서다. 안전띠 의무화가 전 좌석 대상으로 바뀌었고, 지금은 고속도로만 아니라 일반 도로에서도 안전띠를 매야 한다. 어기면 벌금과 벌점이 부과되는 것은 물론이다. 시민들도 이를 당연히 받아들이는 정도. 하지만 반려동물을 위한 정책은 아직까지 정립되지 않은 상태다. 우리는 반려동물을 차에 태우는 경우가 정말 많다. 창문에 머리를 빼꼼히 내밀고 있는 강아지들을 길거리에서 쉽게 만나 볼 수 있다. 귀엽다고만 생각했던 그런 모습들이 때로는 아찔한 순간을 가져올 수 있다. 반려동물은 법적으로 '재물'. 그래서 사람과는 법의 적용 방식이 다르다. 다쳐도 '재산상 손실'로 판단된다. 피해를 입었을 경우에도 분양가 가격 또는 물리적인 가치로만 보상을 받을 수 있을 뿐 치료비나 위자료 등은 청구하기 힘든 것이 현실이다. 반려인들로선 반려동물이
【코코타임즈】 종합생활가전 쿠쿠에서 반려 가구들을 위한 '펫 전용 공기청정기'가 나왔다. 보통의 공기청정기와 비교해 반려동물에서 나오는 털이나 먼지를 더 재빨리 흡입할 수 있게 만든 것. 지난해 10월 청정 브랜드 '인스퓨어'(INSPURE)’를 출범시키며 타워형 공기청정기 ‘W8200’<사진>을 내놓았던 쿠쿠가 1년도 안 돼 그 후속작으로 펫 전용 공기청정기를 내놓은 셈이다. 펫 시장을 겨냥한 것으로도 지난번 '펫 드라이룸'(Dry Room)<사진>에 이은 두 번째 작품. 쿠쿠 공기청정기 W8200 쿠쿠 펫 드라이룸 쿠쿠는 "개발 단계부터 반려 가구 라이프스타일과 고객 니즈(needs)를 반영해 개발한 제품"이라 했다. 일단 '펫 모드'(mode)를 선택하면 강력한 바람이 반려동물의 털과 먼지를 빨아들인다. 이는 '펫 전용 필터'를 부착했기에 가능하다. 반려동물 털과 날아다니는 먼지에 특화된 부착형 필터로, 공기청정기의 필터 오염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 이는 인스퓨어 출시작 W8200의 특징을 쏙 빼닮았다. 크기는 작지만 정화 능력은 크다. 특히 쿠쿠의 '인스퓨어 펫 전용 공기청정기' 필터는 △프리필터 △기능성 필터 △탈취필터
【코코타임즈】 반려동물용품 특허출원이 최근 5년 사이 3배 이상 크게 증가했다. 특히 사물인터넷(IoT) 등 정보통신기술(ICT)을 접목한 특허 출원도 급증세. 반려동물 용품시장에도 4차산업 신기술들이 속속 접목되고 있는 것이다. 15일 특허청에 따르면 2014년부터 지난해까지 5년 동안 반려동물 용품에 관한 특허출원은 140건에서 465건으로 무려 232% 늘었다. 이 기간 동안 전체 출원건수는 1419건에 달한다. 위생·미용분야가 495건으로 가장 많다. 그 다음은 의류·악세서리 271건, 이동장을 포함한 집·가구 253건, 운동·놀이장치 205건, 급수· 급식기 178건으로 조사됐다. 위생·미용 분야에선 배변패드와 같은 배변처리 용품이 52.7%로 가장 많았다. 반려동물을 기를 때 배설물 처리가 쉽지 않은 만큼 그 수요가 특허출원에 반영된 것. 반려동물용품과 ICT를 결합한 특허출원도 급증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IoT 기술이 접목된 출원이 2014년 28건에서 지난해 66건으로 2배 이상 늘었다. 운동·놀이장치 분야(28.9%)를 비롯해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부착된 의류·악세
코코타임즈】 반려동물을 가족처럼 여기는 펫팸(Pet+Family)족이 많아지면서 주변 눈치 보지 않고 반려동물과 공생할 수 있는 주거공간에 대한 니즈 역시 증가하고 있다. 특히 개의 경우 짖는 소리 등 각종 소음 문제로 이웃과 다투는 일이 잦고, 민원 대상이 되곤 한다. 옆집과 갈등의 골이 깊어져 이사까지 고민하는 사례도 종종 있다. 이런 배경에서 반려견 동반 가구를 위한 주택 공급이 늘고 있다. 현재 살고 있는 집의 인테리어 공사까지 감행하기도 한다. ------ 반려동물과 함께하는 주거 공간은 보통 ‘개빌라’ ‘펫빌라’ ‘애견하우스’ ‘펫주택’으로 불린다. 사람과 반려동물의 공생 주택이 알려지기 시작한 건 2016년부터다. 반려동물 주택 개념을 도입한 박준영 ‘반려견주택연구소’ 대표는 “펫주택은 반려동물 문화가 발달한 일본에서 오래전부터 있었던 주택 개념”이라고 말했다. 그는 “6년 전 일본 출장길에 처음 접한 뒤 반려동물과 반려인 모두에게 행복한 주거 대안이 될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다”고 설명했다. http://www.donga.com/news/article/all/20190804/96818931/1 개 편한 세상, 활짝 열린다 펫빌리지에 멍트럴파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