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코타임즈】 반려 인구 1천500만 시대에 접어들며 갖가지 부작용도 함께 떠오르고 있다. 특히 반려동물로 인해 이웃 간 갈등을 경험해 본 비율이 무려 60%에 가깝다. 펫티켓이 아직 정착되지 못한 때문. 그중에서도 비반려인들이 느끼는 최대 불만은 '반려동물의 배설물을 치우지 않는 것'. 반면 반려인들은 '반려동물에 대한 적대적인 행동이나 반응'에 대해 가장 민감하게 반응했다. 뉴스1이 최근 일반인 30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반려동물 때문에 갈등을 겪었다"는 응답은 59.2%로 나타났다. 그 원인 1위는 '반려동물에 대한 적대적 행동'(36.7%) 이었다. 이어 △반려동물로 인한 소음(34.2%) △반려동물로 인한 악취(9.2%) △반려인에 대한 적대적 행동(8.2 %) 순. 올해 문제가 됐던 개 물림 사고는 7.7%로 5위를 차지했다. 비반려인이 본 최대 문제는 '반려동물의 배설물을 치우지 않는 경우'(71.8%)가 1위로 꼽혔다. 다음으로는 '반려동물 유기'(70.2%)와 '학대'(69.9%)가 각각 2위와 3위를 차지했다. 비반려인들의 행동 중 가장 문제가 되는 행동으로는 '반려동물에게 적대적인 행동이나 반응을 하는 경우가 '67
【코코타임즈】 아파트 단지 안에 둥지를 튼 길냥이들. 이들은 '무단' 침입자일까, 사람과 공존해야 할 '배려'의 대상일까? 최근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의 한 아파트 단지 한 쪽 귀퉁이 화단에 고양이 가족이 몰래 들어와 살고 있다. 23일 오후 자세히 살펴보니, 어미와 수컷 새끼 1마리. 어미는 검은색과 노란색 계열 털을, 생후 몇 개월 되지 않은 듯 보이는 어린 고양이는 검은색 털을 지녔다. 길냥이맘들은 여기에 사료를 갖다주고, 어미와 새끼가 산보를 나서면 간식을 건네주기도 한다. 하지만 반대도 만만찮다. "길냥이가 아파트 화단에 한 번 자리 잡으면 앞으로 더 많은 길냥이들이 찾아올 것"이라며 "빨리 쫓아내라"는, 다른 주민들 성화가 빗발치고 있는 것. 이에 아파트 각 현관문에는 "배회 고양이에게 먹이를 주지 말라"는 관리소측 안내문이 나붙었고, 더 나아가 주민들 사이에선 "관리소가 음식물 쓰레기통에 고양이가 싫어하는 식초까지 뿌려 놓았다"는 소문마저 돌고 있다. 반면, 동물을 좋아하는 주민들은 화단에 담요를 깔아주며 점점 추워지는 날씨에 고양이가 어찌 살까 걱정하며 안타까워 몸 둘 바를 모른다. 이에 따라 길냥이맘들과 다른 주민들 사이에선 때때로 고양이들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