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코타임즈】 제주도에서 한 강아지가 입과 코만 내민 채 땅속에 생매장 당했다가 구조되는 일이 발생했다. 지난 19일 국내 한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제주도 강아지 생매장 사건 서명 요청"이라는 제목의 글이 올라왔다. 작성자에 따르면 이날 오전 8시 50분쯤 제주시 내도동 도근천 인근에서 입과 코를 제외한 온몸이 땅속에 파묻힌 강아지가 발견됐다. 이를 처음 발견한 작성자의 삼촌은 즉각 강아지를 구조했으나, 강아지의 건강 상태가 심각했다. 작성자는 "그동안 먹지를 못했는지 몸이 매우 말라 있는 상태였다"며 "(사람을 보고) 벌벌 떨고 있었다"고 전했다. 구조 당시 모습을 찍은 사진 속 강아지는 등뼈가 보일 만큼 앙상하게 말라 있었다. 또 한쪽 발에는 상처가 난 듯 피딱지도 있었다. 작성자는 "며칠 전 한림읍 유기견 사건도 제주도 내에서 매우 충격적이었는데 참 어이가 없다"며 "반려견을 키우지는 않지만 이런 일은 두 번 다시 일어나서는 안 된다는 마음을 담아 글을 올린다"고 분노했다. 한편 앞서 지난 13일 제주시 한림읍에 있는 유기견 보호센터 '한림쉼터' 인근 화단에서 입과 발이 노끈과 테이프로 묶인 채 버려진 강아지 '주홍이'가 발견됐다. 당시 강아지의 입은
【코코타임즈】 지난 3월 31일. 충격적인 이야기가 세상에 알려졌다. 인천의 한 야산에서 발견된 30여 마리의 개들. 20년 가까이 운영되어 왔다는 개 농장엔 낡은 목줄에 묶여있거나, 다치고 병든 채 방치된 개들이 있었다. 게다가 개들이 도망가지 못하게 다리를 자르는 등 학대 정황까지 확인할 수 있었는데. 심지어 바닥에 나뒹굴고 있던 사체들까지... 두 눈으로 보고도 믿기 힘든 처참한 광경이었다. 지옥에서 살아남은 개들 다행히 많은 시민과 구조단체가 힘을 모아 27마리의 개들을 구조할 수 있었다. 개 농장에서 구조된 후 입양된 스칼렛, 비비안, 코딜리아와 임시 보호 중인 만우. 하지만 구조된 지 한참이 지났지만, 여전히 트라우마에 갇혀있다. 켄넬 안에서 꼼짝하지 않고, 보호자가 다가가면 안절부절 피하기 바쁜 녀석들. 이 때문에 이대로 영영 마음을 열지 못할까 봐 보호자들의 걱정은 커져만 간다. EBS <세나개>... 7개월 프로젝트 '살아남은 개들, 그리고 그 후' EBS 1TV <세상에 나쁜 개는 없다>는 바로 이들 구조된 아이 4마리의 이야기를 공개한다. '살아남은 개들, 그리고 그 후' 편(3일 오후 11시 5분). 녀석들의 상태를
【코코타임즈】 경기도 성남시가 올해부터 조난이나 부상을 당한 고라니 너구리 족제비 등 야생동물을 적극 구조한다. 먹이를 찾아 도시를 찾아왔다 철망에 끼이거나 배수로 등에서 길을 잃은 아이들을 포획해 자연으로 다시 돌려보내는 사업을 시작했기 때문. 성남시(시장 은수미)는 이를 위해 이런 구조활동에 전문성과 신속성이 있는 법정단체 '야생생물관리협회'와 손을 잡고, 올 한해 1천200만원의 예산을 편성했다. 시는 20일 오후 3시 시청 환경보건국장실에서 이균택 시 환경보건국장과 이창남 야생생물관리협회 성남지회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야생동물 구조사업 추진에 관한 업무 협약’을 맺었다. 협약에 따라 야생생물관리협회는 성남시의 야생동물 구조·보호 활동과 관련된 사무 중 일부를 수행한다. 또 시민들이 조난이나 부상을 당한 야생동물을 발견하거나 민원을 접수해 구조를 의뢰하면 신속하게 구조 활동을 벌이게 된다. 호랑이나 늑대 같은 대형 포식자가 없어 개체 수가 증가한 고라니, 너구리, 족제비 등의 야생동물들이 먹이를 찾아 도시로 내려오면서 철망에 끼이거나, 수로에 빠져 다치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기 때문. 시는 야생생물관리협회 측이 다친 야생동물을 구조해 치료기관에 인계하거
【코코타임즈】 식용견에 대한 시민들 반대 여론이 비등해지면서, 국내 식용견 농장들이 속속 폐쇄의 길로 접어들고 있다. 국제동물보호단체 HSI(Humane Society International)코리아는 25일 경기도의 한 식용견 농장에서 사육하던 개 90여 마리를 구조했다. 개 농장에는 식용견으로 많이 거래되는 도사견, 진도견들을 비롯해 차우차우, 골든 리트리버 등이 뜬장에 갇히거나 쇠사슬에 묶인 채 식용으로 도살될 날을 기다리고 있었다. "앞으로 개고기 먹을 생각 없다"가 국민의 70% 실제로 국내 개고기 소비는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급격하게 감소하고 있는 추세. 지난해 6월 한국갤럽이 진행한 설문조사에 의하면 한국인의 약 70%는 "향후 개고기 섭취 의사가 없다"고 응답했다. HSI코리아 김나라 매니저는"그 어느 때보다 더 많은 국민들이 식용견 산업을 반대하고 있고, 정부가 이 잔인한 산업을 단계적으로 폐지할 수 있도록 목소리를 내고 있다"고 말했다. 사실 이날 구조작업도 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