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코타임즈(COCOTimes)】 동물에게는 '본능'(instinct)이 있다. 누가 가르쳐주지 않아도 선천적으로 행하는 것을 말하는데, 먹이를 찾거나 자신을 지키려는 행동 등이 대표적이다. 개에게도 다양한 본능이 있다. 자기방어본능에는 경계본능, 사냥본능, 운동본능, 도망본능이 있다. 경계본능은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존재한다. 으르렁거리기, 짖기, 물기 등이 대표적이다. 자기방어본능이 강한 일부 품종은 호신견이나 경비견 등으로 활약한다. 야생에서는 사냥으로 먹이를 구했다. 이런 환경에 놓인 개에 사냥은 생존을 위한 수단이었다. 사람이 뛸 때 갑자기 뒤쫓아 오는 행동, 굴러가는 사물을 좇는 행동 등은 아직까지 남아있는 사냥본능 때문이다. 조렵견이나 수렵견 등이 이에 속한다. 개는 운동본능을 갖고 있어 선천적으로 운동을 좋아한다. 운동을 통해 신체 발달, 정서적 안정, 스트레스 해소 등의 효과를 본다. 집안에서 지내는 개는 운동량이 부족해 게으르거나 비만해지기 쉬우므로 주의해야 한다. 개는 두려운 대상을 맞닥뜨리면 도망가려 한다. 도망본능 때문이다. 특히 소심한 성격을 가진 개는 무서움을 잘 느끼고 숨으려 한다. 개가 다양한 환경에 적응하고 불안감을 덜 느낄
【코코타임즈】 앞마당이면 앞마당, 방바닥이면 방바닥... 땅 파기를 멈출 줄 모르는 개. 마당 흙은 파지기라도 하지, 파지지 않는 방바닥만 하염없이 파고 있는 개를 보고 있노라면 안타까울 정도이다. 개가 이리도 맹렬히 땅 파는 시늉을 하는 이유, 무엇일까? 미국 애견협회 AKC를 통해서 알아보자. 출처 : 이미지투데이 #본능 독일 태생인 닥스훈트는 오소리와 토끼 등 소동물 사냥을 위해 개량된 품종이다. 닥스는 오소리를, 훈트는 사냥개를 뜻한다. 사냥개 품종인 테리어 견종 역시 땅을 잘 파기로 유명하다. 테리어는 라틴어로 대지, 흙을 의미하는 테라(terra)에서 유래했다. 테리어 견종이 땅굴을 파는 이유 역시 땅속 소동물을 사냥하던 습성이 남아있기 때문이다. #체온조절 개는 체온 조절이 쉽지 않다. 땅굴을 파서 더운 날씨에는 시원하게, 추운 날씨에는 열을 빼앗기지 않고자 땅을 판다. #보물창고 좋아하는 음식이나 장난감을 아껴뒀다가 먹거나 갖고 놀기 위해 묻어두기도 한다. #에너지 발산 스트레스나 지루함을 날리기 위해서도 땅을 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