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코타임즈】 (사)대한수의학회(KSVS, 이사장 김곤섭, 회장 박상열)가 오는 28일 충북 청주 오송에서 '2022 춘계학술대회'를 연다. "수의학에서 빅데이터와 인공지능의 적용"(Application of Big-data and AI in Veterinary Medicine)이 전체 주제다. 이날 오전 9시30분부터 지능로봇공학과 축산데이터, 경영정보학 전문가들이 나와 '빅데이터와 딥러닝을 이용한 최신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설명과 함께 시작한다. 12일 대한수의학회에 따르면 이날 오전 11시 개회식 직후 이어질 기조 강연 주제도 '유전자 기반 메타버스 아바타'. EDGC(주) 김태현 전략실장이 자기 회사의 '유후(YouWho) 메타버스 프로젝트'를 활용해 설명한다. 학술대회에선 또 Δ질병 발병과 진단에 빅데이터 이용하기 위한 전략, Δ치유농업(Agro-healing)에서 발견하는 인간-동물 상호작용의 역할, ΔMUMS(the Minor Use and Minor Species) 동물약품 유효성 및 안전성 평가 모델의 발전 상황 등을 비롯한 4개 세션이 오후 5시까지 이어진다. 이와 관련, 김곤섭 이사장(경상국립대 수의대 교수)<사진>은 "빅데이터
【코코타임즈】 전북대학교(총장 김동원)가 동물을 대상으로 한 빅데이터 구축사업을 추진한다. 전북대 산학협력단은 2일, AI기술 벤처기업 (주)아이트(대표 우광제)와 비대면으로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빅데이터 구축사업에 나선다고 밝혔다. 이들은 소·돼지 등 동물 대상 홍채 인식과 얼굴·형태·이상행동 등의 빅데이터 사업 추진을 골자로 동물 빅데이터 사업 업무협약(MOU)도 체결했다. 이를 통해 전북대와 아이트는 서로의 기술, 시설, 장비, 인력을 활용하게 된다. 특히 아이트는 전북대의 학술 역량을 활용해 관련기술을 더욱 발전시켜나갈 방침이다. (주)아이트(AIET)는 홍채인식 알고리즘을 바탕으로 객체인식은 물론 이상행동 징후 및 행동양상 분석분야의 데이터 처리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업체다. 특히 DOS(Distance Object Screening) 객체인식 기술을 적용해 반려동물의 자연스러운 움직임을 포착하고 분석하는 장비 및 시스템 개발을 진행해왔다. 우광제 아이트 대표는 “원거리 홍채인식기술은 인체, 반려동물(Pet), 축산물(Livestock)을 포함한 다양한 홍채를 인식해 관련 산업 전반에 적용 가능한 범용성을 갖추고
"반려동물 빅데이터가 모이면 현재 3조원대인 우리 펫산업이 6조원 시장으로 커가는 데 강력한 성장엔진 역할을 할 겁니다. 유기동물 문제 같은 우리 사회 현안들을 해결할, 요긴한 솔루션도 될 테구요." 충북 제천 세명대학교 강환구 교수(반려동물바이오헬스학과장)는 농약이나 동물약품을 다루는 약리독성학 전문가. 서울대 수의대에서 석사 박사를 하고 농림축산검역본부에서도 28년간 이 분야만 팠다. 그 전문성으로 서울대 겸임교수도, 미국 코넬대에서 1년간 연구원으로도 일했다. 검역본부에서 동물약품평가과장, 동물약품관리과장으로 우리나라 동물보건의 한 축을 담당하면서도 늘 답답하고 아쉬운 게 있었다. 우리 펫산업이 그동안 성장해왔다지만, 아직 각 분야별로 빈자리와 구멍이 너무 많다는 것. 펫바이오헬스 역시 예외는 아니었다. 사람과 동물에도 궁합이 있다 "일본이 20조, 미국이 80조 시장으로 갈 때 그런 발전을 이끄는 기반들이 있었죠. 우린 그런 인프라가 많이 부족해요. 사회 전반에 걸쳐 동물에 대한 이해가, 반려인에 대한 이해가 아직 충분하지 않은 것도 한 이유가 될테죠." 정들었던 검역본부를 뒤로 하고 올해초 그가 학교로 옮긴 것도 그런 갈증 때문. 사람들마다 성향이나
【코코타임즈】 충북 제천시 세명대학교(총장 이용걸)가 동물의료에 특화한 '동물바이오헬스 빅데이터'를 구축하겠다는 비전을 제기했다. 반려동물산업의 지속 성장을 위한 가장 중요한 토대가 될 pet-헬스케어 분야의 지식 정보 플랫폼 역할을 하겠다는 것이다. 이는 바이오보건대학에 올해 동물바이오헬스학과가 신설됨에 따라 구체화된 것. 세명대학교 한의과대학 및 바이오보건대학의 관련학과들과 긴밀한 협력이 전제가 된다면 플랫폼 구축의 가능성은 한껏 높아진다. 교육부와 충청북도 역시 그 잠재력을 높게 평가, '지역혁신 사업'의 일환인 '지역-대학 협력 프로젝트'의 하나로 이를 선정해 집중 지원할 것으로 알려졌다. 25일 세명대학교에 따르면 '동물바이오헬스 빅데이터'는 반려동물 산업 발전을 위해 개, 고양이 등 다양한 반려동물 품종에 대한 생체 정보와 취약 질병, 치료 방안, 동물용 의료 기기 등에 대한 정보를 담은 방대한 데이터. 세명대는 반려동물과 IT기술을 융합한 '펫테크'를 활용해 동물의료, 즉 수의 분야의 다양한 의료정보를 표준화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또 인공지능(AI) 기술과의 접목을 통한 디지털 전환(digital transformation)을 활발하게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