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코타임즈】 코로나19가 아직 사그러들지도 않았지만, 중국에서 또 다른 팬데믹 가능성이 있는 돼지독감 바이러스가 발견됐다. 중국질병통제예방센터(CCDCP) 소속 과학자들이 미국 국립과학원회보(PNAS)에 발표한 논문은 신종인플루엔자(H1N1)의 일종인 'G4' 바이러스를 다뤘다. 같은 돼지가 여러 종류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감염되면 '재편성'(reassortment)이라는 과정을 통해 유전자가 섞일 수 있다. 이번 G4 바이러스는 3가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종류의 혼합형이다. 유럽 및 아시아의 조류에서 발견되는 종류, 2009 팬데믹을 일으켰던 돼지독감 종류, 그리고 북미 인플루엔자 종류에서 유래된 것이다. 2011년과 2018년 사이 중국농업대학(CAU)은 팬데믹 인플루엔자 종류를 찾아내려는 연구의 일환으로 중국의 10개 성의 도축장에서 3만 마리의 돼지와 대학의 동물 병원에서 호흡기 증상으로 검사 받은 1천 마리의 돼지에서 검체를 채취했다. 그 결과 179종의 돼지독감 바이러스가 확인되었다. 연구진은 “G4 바이러스는 2016년부터 급증했는데, 현재는 중국 돼지들 사이에서 널리 퍼진 독감 바이러스”라고 말한다. 연구진에 의하면 G4 바이러스는 인간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발원지로 봉쇄된 중국 우한내 방치된 반려동물들을 돌봐달라는 호소글들이 중국 검색어 3위에 오르는 등 주목받고 있다. 반면, 다른 도시들에선 바이러스를 옮긴다는 공포 때문에 집에서 잘 키우던 반려동물까지 내다버리고, 죽이는 일마저 일어나고 있다. 중국 정부는 춘제 연휴 기간 우한 폐렴 확산을 우려해 지난달 23일 우한에 대한 전대미문의 도시 봉쇄를 감행했다. 이로인해 우한과 후베이성 일대 약 6000만명이 오도가도 못하는 '격리' 신세가 됐다. 이 가운데 봉쇄전 우한을 빠져나간 500만명 가량은 집을 눈앞에 두고도 도시에 들어갈 수 없는 상황이다. 3일 AFP 통신에 따르면 봉쇄령이 언제 끝날지 모르며 헤어진 가족뿐 아니라 두고온 반려동물들을 걱정하는 글들이 중국판 트위터인 웨이보 등을 도배하고 있다. 통신은 '#(해시태그) 우한에 남겨진 반려동물을 구해주세요'가 이날 웨이보 플랫폼에서 검색 3위에 랭크됐다고 덧붙였다. 지난달 30일 한 유저는 "내 고양이 먹이 좀 챙겨주세요"라는 글을 올렸다. 그는 이날 #구해줘 해시태그와 함께 "자신의 반려묘 마오마오의 먹이를 챙겨주겠다는 젊은 남성을 구했다"는 반가운 소식을 올렸다. 글중에는 굶
【코코타임즈】 중국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공포가 확산되고 있는 가운데, 반려동물 감염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또 일각에선 "유기 동물이나 길고양이들이 숙주가 돼 바이러스를 옮긴다"는 괴담도 퍼진다. 하지만 결론부터 얘기하면 "아니다". 28일 한국일보 인터넷판에 따르면 유한상 서울대 수의과대 수의전염병학 교수는 "지금까지 발표된 자료에 따르면 개나 고양이에 한해 반려동물에 감염된다는 보고는 없다”고 말했다. © HeungSoon, 출처 Pixabay 그는 단지 "강아지를 산책시키려면 지저분한 곳은 피하고, 사람이 외출 후 손을 씻듯이 개도 먼지를 터는 등의 기본적인 위생 처리는 필요하다”는 정도만 권고했다. 강아지 고양이에도 전염된다는 건 사실상 뜬소문이라는 얘기다. 유튜브 '윤샘의 마이펫상담소'를 운영하는 수의사도 이날 "이번 폐렴은 변이된 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한 질병이기 때문에 강아지나 고양이로부터 전염될 확률은 없다"고 잘라 말했다. 사람과 사람 전파가 가능한 질병은 반려동물 전파도 가능하다고 믿기 쉽지만, 전혀 사실이 아니기 때문. 그는 "코로나 바이러스의 경우 비교적 약한 질병에 들어가기 때문에 사람, 강아지, 고양이에게 흔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