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코타임즈】 늘 부족한 반려동물 긴급수혈 혈액 문제를 해결할 반려동물 헌혈센터 'KU 아임도그너'가 18일 공식 오픈했다. 반려동물 수술과 치료에 있어 충분한 의료혈액 수급은 필수. 이에 따라 이번 센터 오픈은 반려동물계에 헌혈 문화를 확산하고 전국을 연결하는 혈액 수급망을 본격 구축하는 신호탄이다. 전국의 거점 동물병원들과 연계, 동물 혈액의 확보와 긴급 지원하는 허브(huh) 역할을 한다는 것. 특히 의료혈액을 공급하기 위해 별도 사육하며 주기적으로 피를 뽑아야 하는 공혈견(供血犬)에 대한 윤리 문제는 물론, 돈으로 피를 사고 파는 매매혈(買賣血) 문제 등 현실적 딜레마를 극복할 해결책을 제시한다는 의미도 있다. 건국대 부속 동물병원의 별관 2층에 자리 잡은 KU 아임도그너 헌혈센터(센터장 한현정 교수)는 이를 위해 △채혈실 △혈액 분리실 △혈액연구소 등으로 구성돼 있다. 헌혈견은 1~8세령 25㎏ 이상 대형견으로 한정할 예정이다. 여기서 아임도그너의 도그너(DOgNOR)는 개(Dog)와 기부자(Donor)의 합성어. 수혈이 필요한 개들을 위해 헌혈에 참여하는 헌혈견(獻血犬)을 의미한다. 아임도그너(I’M DOgNOR)는 현대자동차와 건국대학교가 함께
【코코타임즈】 반려견이 증가하면서 아픈 반려견들의 수혈 공급 요구가 많아지고 있다. 하지만 혈액은 항상 부족하고, 그마저도 90%를 일부의 공혈견(供血犬)에 의존하는 게 현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현대자동차가 건국대(KU)와 함께 반려견 헌혈센터를 건립하고, 여기에 10억원을 후원한다. 공공기관이 아닌 민간이 만드는 자발적 헌혈기관으로는 아시아 처음이다. 명칭은 '케이유 아임도그너(KU I’M DOgNOR) 헌혈센터'. "나는 강아지 헌혈 공여자”라는 뜻. 여기서 DOgNOR는 헌혈 공여자 도너(Donor)에 강아지(Dog)를 합성했다. 현대차, 건국대에 10억 후원해 반려견 헌혈센터 설립 이를 위해 건국대 정영재 총장<사진 오른쪽>과 현대차 유원하 국내사업본부 부사장<왼쪽>은 지난 25일, 서울 광진구 건국대 행정관에서 '반려견 헌혈 문화 조성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향후 5년간 매년 2억원씩 총 10억원 후원도 약정했다. 이에 앞서 현대차와 건국대는 지난 2년간 반려견 헌혈캠페인 '아임도그너(I’M DOgNOR)'를 진행해왔다. 현대차가 미니버스 밴 솔라티(SOLATI)를 개조한 헌혈 전용차<아래 사진&g
【코코타임즈】 국제응급수의학회(IVECCS)는 세계에서 가장 규모가 큰 국제수의학회다. 매년 열리는 정례 심포지엄엔 전세계에서 2만명 이상의 수의사들이 참여한다. 거기서 우리나라의 반려견 헌혈카 캠페인이 올해 심포지엄에서 크게 주목을 받았다. 건국대 동물병원과 한국헌혈견협회, 그리고 현대자동차가 공동으로 진행한 '아임 도그너(I'M DOgNOR): 찾아가는 반려견 헌혈카' 프로젝트. 도그너(DOgNOR)는 반려견(DOG)과 헌혈 제공자(DONOR)의 합성어다. 국내 반려견을 기르는 인구가 1천500만명에 육박하고 있지만, 반려견 혈액 수급의 90% 이상이 수혈용으로 사육되는 '공혈견'(供血犬, Donor Dog)으로부터만 공급되는 현실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를 반영해 기획됐다. 공혈견은 한달에 한번씩 계속 피를 뽑히다 생을 마감하는, 아주 특별한 존재. 지난해 처음 시작... 전국 순회 헌혈 캠페인 건국대 동물병원은 이 헌혈카를 이용해 지난해 10~12월 전국을 돌며 일반견들을 대상으로 헌혈 캠페인을 벌였고, 수의사들과 수의대생들이 이 캠페인을 지원했다. 헌혈카에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