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코타임즈】 강아지 고양이 아토피 증상을 개선시키는 피부면역 개선제 '아토카인(ATOKINE) 캡슐'이 나온다. 유산균을 활용한 차세대 바이오틱스(Post-Biotics) 제품. 수의사 처방을 받아 동물병원에서 구할 수 있다. 19일 대한수의사회에 따르면 한수약품은 일동바이오사이언스(대표 이장휘), 이엘티사이언스(이사 최형규)와 지난달 26일 업무 협약을 맺고 강아지와 고양이의 아토피 피부면역 개선제인 '아토카인 캡슐'을 출시한다. 일동제약 계열 일동바이오사이언스는 '아토카인 캡슐'의 원료를 공급하고, 이엘티사이언스는 제조를 맡고, 대한수의사회(회장 허주형) 자회사인 한수약품은 동물병원에 유통⋅판매를 진행하는 삼각 협조체제. '아토카인 캡슐'은 일동바이오사이언스가 독자 개발한 유산균 사균체 배양물(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아이디씨씨 3201 열처리배양건조물)을 함유한 포스트 바이오틱스 제품. 이 배양물은 면역 과민반응에 의한 피부 질환을 개선시키는 '개별인정원료'로 식약처에 등록돼 있다. 이를 활용한 아토피 예방 및 치료 방법은 해외특허(PCT)도 출원한 상태. 동물약품 제조업체인 이엘티사이언스에서는 이 원료를 활용해 아토피가 있는 강아지에 대한 대한 자체 시
【코코타임즈】 아토피 피부염으로 고통 받는 반려동물이 의외로 많다. 원인을 밝혀내기가 쉽지 않다 보니 완치도, 기술 개발도 어렵다. 게다가 아토피 치료약이 없진 않지만, 금방 내성이 생겨 치료가 더 어렵게 하는 부작용도 만만찮다. 그래서인지 연구 능력을 지닌 대학과 제조 능력을 지닌 기업이 산학협력 방식으로 아토피를 줄여줄 기능성 사료와 샴푸를 잇따라 개발했다. 여기다 지자체의 지원까지 더해지면서 신제품이 곧 시장에 출시된다. 먼저, 경희대와 (주)아크는 아토피 증상을 줄여주는 사료를 개발했다. 경희대학교 글로벌 의약품 소재개발 연구센터 박지호 교수팀은 "반려동물의 아토피 증상 완화를 위한 천연소재 조성물 개발에 성공, 경기도 지역기업에 해당 기술을 이전한 뒤 사료로 출시할 예정"이라고 11일 밝혔다. 경기도의 지역협력연구센터(GRRC) 내에서 대학과 기업간 협업으로 새로운 사료 첨가 물질을 개발한 것이다. 박 교수팀은 특히 아토피 치료약이 내성이 잘 생긴다는 점에 착안, 먹는 사료에 첨가해 아토피 개선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천연소재 활용 치료법에 주목했다. 실제로 실험쥐에 어성초 등 천연소재 조성물을 먹인 결과, 먹이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표피층 두께가 4
동물병원을 찾는 가장 큰 이유는 3가지다. 예방 접종과 정기 검진, 그리고 질병 치료. 그런데 질병은 피부염, 소화기 등의 식이 알레르기성 질환이 가장 많다. 33%가 넘는다. 그 다음은 피부 가려움 등 아토피성 질환. 이 또한 30%가 넘는다. 알레르기와 아토피는 알고 보면 비슷한 특성을 지니고 있다는 점에서 이 둘이 보호자들 괴롭히는 원흉으로 짝을 이룬 셈이다. 사실 알레르기는 어떤 물질에 대한 거부반응으로 인해 나타나는 증상의 하나다. 그중에서도 알레르기 때문에 생기는 염증 반응은 피부나 위장관 등을 통해 나타난다. 그 물질이 내부인가 외부인가에 따라서 각각 '식이 알레르기'와 '아토피 피부염'으로 나눌 뿐. 먼저 '식이 알레르기'는 대개 구토나 설사가 함께 오는 경우가 많다. 개와 고양이의 1~6%에서 발생한다. 그중에서도 휘튼 테리어, 화이트 테리어, 콜리, 코카 스파니엘, 슈나우저, 리트리버, 푸들 등에서 잘 걸린다. 고양이의 경우 거의 60% 정도가 샴이나 샴 교잡종에서 잘 나타난다. 평균 4~5살 때부터다. 반면 아토피 피부염은 개의 10% 정도가 발생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10마리 중 1마리는 아토피 피부염을 갖고 있다는 것. 가려움증이
【코코타임즈】 아토피를 일으키는 원인 물질에 노출 되었을 때 면역세포는 과도하게 반응해 가려움증을 일으킨다. 그 와중에 염증도 생긴다. 유전적인 원인이 많다. 집먼지 진드기, 꽃가루 등이 원인이다. 주로 1~3세의 어린 개에게서 나타나는데, 상대적으로 암컷에 많이 나타난다. [증상] 무척 가려워한다. 긁고 깨무는 행동을 반복한다. 피부가 심하게 붓고 붉은 반점이 생긴다. 점차 심해지면 두드러기가 일어나고 습진으로 발전하기도 하며 심하게 긁어 피나 고름이 나오기도 한다. 탈모 증세가 동반되고 비듬이 보이기도 한다. 발작처럼 과도하게 발바닥을 깨물거나 핥아 딱지가 앉기도 한다. 만성화되면 지루성 피부염 등 이차적인 피부질환을 일으키기도 한다. 특히 벼룩에 의한 알레르기 피부염은 허리와 꼬리 등 벼룩에 잘 물리는 부위가 탈모가 일어나고 붉은 발진 등이 관찰된다. 피부가 짙어지고 두꺼워지기도 하며, 천식으로 호흡곤란을 일으켜 쇼크사하는 경우도 있다. 눈 주위의 개 아토피 피부염 [Carol Foil Caroldermoid] [CC-BY-SA 3.0] [원인] 꽃가루나 집먼지 진드기, 벼룩, 곰팡이, 음식물, 풀, 나무 등의 원인 물질에 몸의 면역 기능이 과도하게 반
【코코타임즈】 사람의 코끝에서 보이는 검은 피지보다 좀 더 큰 까만 점이 고양이 턱에서 보인다. 초기에는 여드름처럼 피지 분비가 많아져 생기는 단순한 피부 트러블이지만 점차 가려워서 긁다 보면 딱지가 앉는다. 더 심해지면 붓고 피가 날 정도로 빨갛게 올라와 2차 감염으로 염증이 생긴다. [증상] 고양이 턱 밑과 아래 입술 주변에 후춧가루 같은 '블랙 헤드'(검은 점)가 보인다. 모낭과 각질에 피지가 고인 것. 각질에 피지가 쌓이면 검게 보이고, 모낭에 피지가 쌓이면 피부가 살짝 솟아 오른 듯 보인다. 처음에는 검은 부스럼처럼 보여 신경을 쓰지 않지만 고양이는 가렵기 때문에 사람에게 스치거나 하면서 비비는 일이 많아진다. 결과적으로 상처가 생겨 2차 감염, 즉 진균이나 세균 감염으로 이어지면 붉게 부풀어 오르고 염증이 생긴다. [원인] 사람 여드름도 정확한 원인을 모르는 것처럼 고양이 여드름도 복합적이다. 스트레스와 그루밍을 할 수 없는 위치, 호르몬, 지나치게 활성화 된 피지선(기름기 과다 분비), 아토피, 그리고 음식 등을 원인으로 꼽는다. 통상 2~4세 고양이에게서 많이 나타난다. [치료] 정확하게 고양이 여드름 증상인지 확인하기 위해선 병원을 찾아야
【코코타임즈】 중이염은 고막 내부의 중이와 내이에 염증이 생기는 질병이다. 그 중 내이는 청각과 평형감각을 담당하는 기관이며, 귀 제일 안에 있다. [증상] 외이염에 이어 발병하는 경우가 많아 외이염과 비슷한 증상이 많다. 귀 입구가 붉게 변한다. 귀(머리)를 기울이거나 머리를 흔드는 행동을 자주 하고 귀를 긁기도 한다. 귀에서 냄새와 고름이 난다. 통증이 심해 무기력하고 귀 부근을 건드리면 싫어한다. 발열 증상이 있기도 하다. 심할 경우, 안면 신경계 손상으로 인한 안면마비가 올 수 있다. 청력을 잃을 수도 있으며, 균형 감각이 떨어져 걸음걸이가 부자연스럽거나 비틀거리기도 한다. 안구 함몰, 안진(눈의 흔들림), 메스꺼움, 구토 등을 보일 수 있다. [원인] 주요 원인은 외이염 악화, 유전, 기생충 혹은 박테리아 감염, 곰팡이, 아토피, 약물 반응, 면역력 저하 등이다. 또 다른 이유로는 외상, 귀 종양, 이물질(흙, 풀 등) 등이 있다. [치료] 염증의 원인이 되는 세균이나 곰팡이를 제거하는 것이 우선이다. 그 다음, 염증 완화를 위해 항생제와 항진균제, 소염제 등의 약을 투여한다. 귀진드기(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