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코타임즈(COCOTimes)】 "개는 후각, 청각이 발달했으니까 시각은 좀 떨어져도 된다고요? 당장 내가 눈이 안 보인다고 생각하면 얼마나 답답하고 두려울까요? 개들도 마찬가지랍니다." 정만복 한국수의안과연구회 회장(아시아수의안과전문의)은 최근 뉴스1과 인터뷰에서 이같이 말했다. "사람·동물 모두 가장 중요한 감각기관은 눈" 정 회장은 벳아너스 회원인 서울 금천24시 우리동물메디컬센터 안과원장이다. 우리동물메디컬센터에서 만난 정 회장은 자신이 동물 안과를 시작한 계기를 "진돗개 덕분"이라고 밝혔다. 그는 "2000년대 초반에 진돗개의 안과 진료를 보게 됐다"며 "강아지의 눈을 보면 맥락막에 위치한 반사판이 가진 고유의 색이 있다. 진돗개의 반사판이 노란 색이었는데, 마치 깊은 바다처럼 느껴졌다"며 진돗개 눈에 빠져들게 된 당시를 떠올렸다. 그러면서 "사람이나 동물이나 여러 감각기관 중에서 가장 중요한 기관이 눈이다. 정보의 70~80%는 눈으로 보고 뇌로 전달하기 때문"이라며 "눈이 안 보이면 우울해지고 잠을 많이 자게 되니 운동 부족이 생길 수 있다. 주변 사물에 부딪혀 다칠 수도 있으니 눈은 관리가 중요한 기관"이라고 강조했다. 2000년대 초반만 해
【코코타임즈】 "애들이 아프다고 한 마디만 해주면 좋겠어요", "수술을 하고 나면 다시 예전처럼 돌아갈 수 있겠죠?" 아파도 아프다고 말하지 못하는 아이를 진료 테이블까지 데리고 온 보호자. 그 안타까움과 불안한 마음이 짠하게 전해온다. 그래서 아이 상태와 병에 대해 충분히 설명한다지만, 보호자 입장에선 항상 충분하지 않다. 정말로 낫게 해주어야 비로소 얼굴이 펴지는 보호자들 몰인정(沒人情)을 탓할 수도 없다. 지난 1999년부터 20여년 숱한 환자(반려동물)를 돌보아온 정창우 대표원장이 10여년 전부터 외과 치료에 전력을 다해온 이유도 거기에 있다. 눈에 보이지 않는 몸 속 병까지 확실하게 고쳐 달라는 환자와 보호자들의 그 눈빛을 외면하기 힘들었기 때문. "보다 빠르게, 보다 분명하게 치료 효과를 낼 수 있는 수술 분야가 제게 맞았어요. 과감하면서도 섬세해야 하는 외과쪽 진료 성향도 그렇고요. 더 다양한, 보다 난이도 높은 수술을 성공시키기 위해 계속 도전한다는 것이 어느새 제가 가야만 할 길처럼 여겨졌어요." 그렇게 쌓아온 사례들을 수도권 수의사 학술모임 'VCA Korea' 세미나를 통해 공유하기 시작했다. 스스로에겐 이론과 실제를 더 가다듬는 과정이었
【코코타임즈】 서울 금천구(구청장 유성훈)는 반려동물 헬스케어 정보부터 입양 관련 상식, 그리고 특수동물 이야기까지 반려인을 위한 '반려동물 문화교실'을 11월 10일부터 12월 17일까지 두달간 운영한다. 3일 서울 금천구청에 따르면 반려동물 문화교실은 11월 10일부터 매주 화요일과 목요일 진행된다. 우리동물메디컬센터 정창우 대표원장<사진>은 매주 화요일 오후 2시~3시 '반려동물 질병관리'를 교육한다. '고양이 구토의 원인과 치료'부터 치아, 귀, 그리고 피부질환과 안과질환까지 다양한 반려동물 건강관리법이 소개된다. 또 매주 화요일 오전 9시부터 11시까지는 신윤이 수의사의 '입양할 때 알아야 하는 것들'과 최정훈 수의사의 '재미있는 동물의학' 강의가 있다. 교육은 지역 동물병원 또는 구청에서 열리며 참석 인원은 5명 내외로 제한된다. 구는 각 동에서 추천받은 저소득층 20여명을 포함해 2마리 이상의 동물을 키우는 가구, 일반가구 순으로 교육대상자 70여명을 모집할 계획이다. 교육에 참여하고 싶은 구민은 6일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