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코타임즈】 이첨판 폐쇄부전증(Mitral Valve Insufficiency)은 중소형견에서 가장 흔한 심장 질환이다. 주로 8살 이상의 중년 또는 노령견에서 발병한다. 드물지만 고양이에서 발병하기도 한다. '승모판'이라고도 하는 이첨판은 심장 내의 혈액이 역류하지 않고 한 방향으로 흐르게 하는 밸브 역할을 하는 판막 중 하나다. 정상적인 심장에서는 폐를 지나오는 혈액이 좌심방에서 좌심실로 이동한 후 이첨판이 닫힌다. 좌심실이 수축하면 혈액은 전신으로 뿜어져 나가며 닫힌 이첨판 덕분에 좌심방으로 역류하지 않는다. 하지만 이첨판이 두껍고 뭉툭해지면 좌심방으로 역류가 일어난다. 이로 인해 좌심방은 커지며 과도한 압력으로 인해 폐에 체액이 차오르게 되는 '울혈성 심부전'(congestive heart failure)으로 발전한다. [증상] 가장 먼저 나타나는 증상은 '심 잡음'(heart murmur)이다. 심 잡음은 심장 박동 도중 혈액이 역류해서 들리는 소리로, 동물병원에서 청진기로 확인할 수 있다. 초기에는 증상이 없거나 미묘해서 눈치채기 어렵다. 보호자들은 개가 '느려진다'고 느끼지만 이를 노화 또는 관절염 등의 질환 때문이라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다.
【코코타임즈】 확장성 심근증(dilated cardiomyopathy)은 심장이 혈액을 순환시키는 능력이 줄어드는 심장 근육 질환의 하나다. 여기에 걸리면 심장 근육이 퇴화하면서 얇아진다. 근육이 얇아지면 심장의 수축성이 줄어들어 울혈성 심부전으로 이어진다. 확장성 심근증은 대형견과 초대형견에게서 가장 흔한 심장 질환 중 하나다. 박서, 도베르만 핀셔, 그레이트 데인, 아이리시 울프하운드, 세인트 버나드 등에서 발병할 확률이 높다. 게다가 저먼 셰퍼드에서도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코커 스파니엘, 잉글리시 스프링어 스파니엘, 포르투기즈 워터 독과 같은 일부 중형견 품종도 발병 위험이 있다. [증상] 확장성 심근증이 걸리면 숨 쉬는 것을 힘들어한다. 그래서 운동을 싫어한다. 또 전반적으로 움직임 속도가 느려진다. 쉬거나 잘 때도 숨이 가빠 보이거나 혀가 푸른빛을 띤다. 기절까지 한다면 응급실로 데려가 봐야 한다. 그 외에도 기침, 우울증, 식욕저하, 체중 감소, 배가 부풀어 오르는 것 등도 확장성 심근증의 증상일 수 있다. [원인] 명확한 원인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다. 영양, 감염, 유전적 요소 등이 원인이 되는 것으로 알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