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코타임즈】 사람처럼 개도 딸꾹질 한다. 심지어 딸꾹질을 하는 모습마저 비슷하다. 딸꾹질이 일어나는 원인은 무엇일까? 강아지의 딸꾹질 원인 상당수는 식습관이다. 급하게 먹는 경향 때문이다. 특히 대형견은 위가 커서 위 안에 가스가 많이 발생하면서 딸꾹질이 생기는 경우가 많다. 한 번에 많은 먹이를 씹지 않고 삼키다 보니 먹이가 위 안에서 충분히 소화되지 못하고 발효되기 때문이다. 또 흥분을 하거나 스트레스를 받아도 딸꾹질을 한다. 체온 저하나 특정 약물에 대한 반응 때문이기도 하다. 이들 원인 대부분의 공통점은 미주신경이라 불리는 자율신경계의 자극이다.자극을 받은 미주신경은 다시 횡격막을 자극하고 곧 횡격막 경련으로 이어진다. 이 경련을 딸꾹질이라 한다. 강아지는 배 속에 기생충이 있을 때도 딸꾹질을 하는 경우가 많다. 심지어 자신의 딸꾹질에 잠에서 깨 어리둥절해 하는 경우도 있다. 이때는 변을 잘 살펴보자. 변이 말랑말랑하면 위장에 기생충이 있어 소화 흡수가 잘 안 되고 있을 확률이 높다. 배의 기생충을 그대로 두면 기운이 없어지고, 구역질이나 설사를 할 위험도 있다. 사람도 그렇듯 딸꾹질은 대부분 곧 그치고, 별다른 치료가 필요하지 않다. 하지만 딸꾹질
【코코타임즈】 곁에 두면 듬직한 대형견. 하지만 이런 듬직한 대형견도 질병 앞에서는 한없이 작은 아기가 된다. 특히 대형견이 취약한 몇몇 질환들이 있다. 대형견 단골 관절 질환 '고관절 이형성증' 리트리버나 저먼 셰퍼드, 롯트와일러, 세인트 버나드 등은 '고관절 이형성증'이 생기기 쉽다. 이는 고관절, 즉 대퇴골이 변형되는 질환. 강아지 3대 관절 질환으로 불릴 만큼 발생 빈도가 높은데, 유전적 요인이 가장 크다. 또 다른 이유는 대형견의 골격 형성이 빠른 성장 속도를 따라가지 못하기 때문이다. 고관절이 불편한 개는 걸을 때 뒷다리에 힘을 주지 못하고 자연스레 엉덩이를 실룩거리며 걷는다. 뒤에서 봤을 때 두 뒷다리 폭이 좁은 채로 걸으며 간혹 뒷다리를 절거나 걷지 못한다. 앉거나 일어날 때 힘들어하는 모습도 보인다. 아픈 다리는 같은 정도의 힘으로 허벅지를 만져봤을 때 근육량이 적거나 발톱이 덜 닳아 있다. 힘을 덜 주고 걷기 때문이다. 또한, 강아지를 안은 채 한 손으로는 다른 관절에 무리가 되지 않을 정도로 엉덩이를 왔다 갔다 움직여본다. 이런 방법으로 강아지가 아파한다면 고관절 질환일 확률이 높다. 몇 시간 안에 사망에 이르게도 하는 '위 염전' 저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