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코타임즈】 경기도 시흥 곤충산업연구회에서 2018년에 흥미로운 실험을 한 적이 있습니다. 총 10주 동안 초등학생 15명을 대상으로 '신나는 곤충학교'를 열어본 것이죠. 장수풍뎅이 관찰키트 만들기’, ‘나무로 장수풍뎅이 만들기’, ‘날아오르는 장수풍뎅이’ 등을 진행하면서 이를 화보로 만들어보기도 했죠. 장수풍뎅이와 교감하면서 놀이와 미술을 접목한 프로그램. 그런데 그 10주의 프로그램이 끝나고 조사해보니 아이들 정서 영역에서 '긍정' 정서는 늘었고, '부정' 정서는 줄어드는 특별한 효과를 얻었다고 합니다. 이런 곤충을 활용한 사례는 그 이전 2016년에도 있었습니다. 농촌진흥청에서 진행한 실험으로 그 대상은 초등학생이 아닌 노인들. 대구의 한 복지관에서 65세 이상 노인 40명을 대상으로 2개월간 왕귀뚜라미를 길러본 것이죠. 프로그램에 활용한 왕귀뚜라미는 과거에 궁궐에서 살던 궁녀들이 외로움을 달래고자 이부자리 옆에 두고 울음소리를 들었던 곤충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노인들은 매뉴얼과 사육 키트를 통해 왕귀뚜라미를 직접 길러보았고, 상담사들은 매주 전화를 통해 기르는 과정을 수시로 확인했죠. 그렇게 두 달이 지난 뒤 노인들은 정서적 안정감을 얻었다고 합니다
【코코타임즈】 분리불안은 선천적인 기질 때문에, 혹은 살아가면서 다양한 요인으로 발생한다. 분리불안은 극심한 불안감과 스트레스를 안겨주므로 적절한 조치가 취해지지 않는다면 스트레스로 인한 다양한 질환이 발생할 수 있고, 반드시 행동 수정이 필요하다. 염창제일동물병원 강석재 원장은 “타고나기를 불안감을 잘 느끼는 아이라면 행동 교정이 어려울 수 있으나, 후천적 요인으로 발생한 경우에는 희망을 가져볼 만하다"고 했다. 얼마나 심한 걸까 행동 교정에 앞서서 분리불안 정도를 알아볼 필요가 있다. 가장 큰 기준은 식사. 동물이 보호자와 떨어진 후 밥을 먹느냐 먹지 않느냐로 그 정도를 판단할 수 있다는 얘기다. 강 원장은 “혼자 있을 때 잘 먹으면 심한 상태는 아니며, 몇 가지 방법만으로도 행동 수정이 가능하다. 혼자 있을 때 다른 증상은 보이지 않더라도 밥을 먹지 않는다면 분리불안 증세가 심해지는 단계”라고 말했다. 고칠 수 있을까 증상이 심하지 않다면 몇 가지 방법을 시도해볼 수 있다. 원인에 따라서 치료법은 무척 다양하지만, ‘불안함’을 유발하는 요소, 즉 '트리거'(방아쇠)를 제거하는 것이 포인트. 방아쇠는 자신이 혼자일 것이라는 불안감을 심어주는 신호와 같
【코코타임즈】 강아지가 산책하러 나갔을 때, 혹은 집안 화초를 뜯어 먹는다면 반려견 건강을 되돌아봐야 한다. 풀에 있는 독성 물질 때문에 '섭취 행위' 자체가 문제 될 수도 있지만, 이미 건강상의 이유로 풀을 먹으려 하는 것일 수도 있다. 출처 : 클립아트코리아 충현동물병원 강종일 원장은 "개는 어딘가 아플 때 풀을 먹고 치유하려는 습성이 있다"라고 말했다. 위에 염증이 있거나 가스가 차서 배가 아플 때, 배탈이 났을 때, 속이 더부룩할 때 등 풀을 섭취하면서 속을 다스리려는 것이다. 보통 강아지가 속이 좋지 않아서 풀을 먹을 때는 잘근잘근 씹어먹기보다는 한입에 꿀꺽 삼켜버리는 경우가 많다. 그리고 얼마 지나지 않아서는 풀과 함께 음식물을 게워낸다. 강아지는 이런 방식으로 스스로를 치료한다. 따라서 반려견이 산책 도중 집 안의 화초를 먹으려 하거나 야외에서 풀을 먹으려 한다면 불편해 보이는 증세는 없는지 살펴보는 것이 좋다. 또한, 공원이나 산책로 등에 나 있는 풀은 오물이나 살충제 등 개에게 해로운 성분이 묻어 있을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관련기사] - “사료는 안 먹고 갑자기 구토를 한다면?”… 급성위염(Gastritis) ->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