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코타임즈】 뉴펀들랜드(Newfoundland)는 1700년대 캐나다로 들어온 유럽(영국·프랑스)의 어부들이 티베탄 마스티프(Tibetan Mastiff)와 뉴펀들랜드 섬 현지의 토착 견을 교배시켜 탄생한 품종이라는 이야기가 있으며, 또 한편으로는 900년대 바이킹들이 뉴펀들랜드 섬으로 이들의 선조 격인 견종을 데리고 왔다는 주장도 있다. 이 외에도 노르웨이 사냥꾼들이 뉴펀들랜드 섬으로 데려온 마스티프 품종이었다는 이야기도 전해오고 있는 등, 그의 기원은 아직까진 명확히 확인되지 않고 있다. 하지만, 현재의 뉴펀들랜드는 1800년대 초 영국에서 정립된 것을 표준으로 정립돼있다. 1800년대의 영국인 동물화가 랜시어(Landseer)가 그의 그림에 뉴펀들랜드를 등장시키며 대중에게 널리 알려졌다고 한다. 뉴펀들랜드는 폐활량이 상당하고 몸통은 두껍고 기름기 많은 가죽으로 덮혀 있으며 다른 개보다 커다란 발에는 물갈퀴까지 있어 찬물에서 견디고 움직이는 능력을 타고 난 품종이다. 방수성을 가진 길고 덥수룩한 바깥 털과 부드럽고 촘촘한 속 털의 이중모 덕분에 한겨울 눈밭에 굴러도 끄떡없을만큼 추위에 강하다. 하지만 반대로 덥고 습한 기온에는 매우 취약하므로 여름철에는
【코코타임즈】 고대 로마 제국 군인이 영국으로 건너가며 데려간 품종이다. 식용 소를 지키는 목양견과 군용견 용도로 이용됐다. 티베탄 마스티프를 조상견으로 둔다. 로트바일 (Rottweil) 이라는 지방의 가축상들이 개량해 목양과 수레 끌기 용도의 작업견으로 이용했다. 품종명은 바로 이 지명에서 유래했다. 현재는 탐색견, 경비견, 경찰견으로 활동하고 있다. 중형견과 대형견 중간 사이즈다. 외모는 전체적으로 넓적하고 땅딸막하며 힘 있는 느낌을 준다. 다부지고 탄탄한 몸매를 갖고 있다. 털은 이중모로 짧고 윤기 나는 검은 털을 바탕으로 탄, 마호가니(Mahogany : 짙은 적갈색) 컬러 등의 마킹이 섞여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똑똑하고 민첩하다. 스탠리 코렌 교수의 저서 'The Intelligence of Dogs' 저서에 똑똑한 개 9위로 롯트와일러가 올랐다. 평상시에는 조용하고 온화하다. 공격성과 보호 본능이 강해 교육을 잘 받은 롯트와일러는 주인에게 헌신적이지만, 훈련되지 않은 개라면 사고를 일으킬 위험이 높아 복종훈련을 시켜야 한다. 인명 사고율이 높은 품종이다. 생후 3개월 이상이 되면 외출 시 입마개를 씌우는 것이 안전하다. [건강 체크포인트] 많
【코코타임즈】 티베탄 마스티프(Tibetan Mastiff)는 대략 3천 년 전부터 키워지고 있었다. 마르코 폴로(Marco Polo)의 동방견문록에서 커다란 개로 묘사된 기록도 이 티베탄 마스티프일 것이라 추정하고 있다. 티벳에서는 '집을 지키기 위해 묶어두는 개'라는 뜻을 가진 도키(Do-khyi)라 부르기도 한다. 실제로 낮에는 묶어두고 밤에는 마을의 여성과 어린이, 가축 등을 늑대나 도둑으로부터 지키기 위해 풀어두는 경비견으로 오래전부터 티벳의 보호신 같은 존재로 인간과 함께 해왔다. 뉴펀들랜드(Newfoundland)와 세인트 버나드(Saint Bernard), 쿠바스(Kuvasz) 등 머리와 체구가 큰 작업 견들과 대형 견의 조상으로 추정하고 있으며, 20세기 초 영국으로 데려가 몇 번의 번식을 시도했지만, 모두 실패로 돌아갔고 1931년이 돼서야 어렵사리 성공할 수 있었다. 스페비훈(stabyhoun), 머디(mudi), 아자와크(Azawakh), 타이 리지백(Thai Ridgeback)과 함께 세계 5대 희귀견종으로 꼽힌다. 현재도 중국 정부에서 엄격하게 보호 관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중국이 티벳을 합병했을 때, 중국 군대는 티베탄 마스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