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또 산책 전에는 준비운동을 해주는 것이 좋다. 따뜻한 곳에 있다가 갑자기 추운 곳으로 이동하게 되면 심혈관 수축 등 문제가 생길 수 있기에 반려견 피부를 마사지해 주거나 스트레칭을 하고 나가도록 한다.
새끼 강아지와 노령견의 경우 면역력이 약하기에 추위를 더 많이 탄다. 눈을 맞아 털이 젖은 상태로 오래 돌아다니면 감기는 물론, 자칫 동상에도 걸릴 수 있다.
"사람이 신발 없이 양말만 신은 상태로 눈 위에 한참 서 있다고 생각해보세요. 동상에 걸리겠죠. 강아지도 마찬가지입니다. 추운 날 털이 젖은 상태로 밖에 오래 있으면 동상에 걸릴 수 있습니다."(심용희 수의사)
심용희 수의사는 이어 "겨울철, 특히 눈 오는 날 반려견과 동반 산책할 때는 여러가지 주의가 더 필요하다"고 당부한다.
실외 배변 등을 위해 반드시 산책을 해야 하는 반려견이라면 더 조심해야 한다. 방수복이나 방한복 등을 입히면 찬바람과 수분이 털 안으로 들어오는 것을 막아준다.
산책 후엔 반드시 염화캄슘 말끔히 제거해야
또 눈 속에 깨진 유리병 등 이물질을 발견하기 어렵기 때문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신발을 신기거나 유모차, 이동가방 등을 이용하면 발바닥 보호에 도움이 된다.
특히 조심해야 하는 것들 중 하나가 제설할 때 사용한 염화칼슘이다. 염화칼슘이 뿌려진 눈 위를 산책하다 발바닥 피부가 자극을 받아 다칠 수 있다.
게다가 발진이나 가려움증 등 피부병이 생기기도 한다. 산책하며 밟은 염화칼슘이 깨끗이 닦이지 않아 피부 문제를 일으키는 것. 다리 짧은 닥스훈트 같은 견종들은 배에눈이 닿아 배에도 생길 수 있다.
염화칼슘은 피부 문제 뿐 아니라 소화기 문제도 일으킨다. 강아지가 호기심에 눈을 먹거나, 집에 돌아온 후 발을 핥거나 하면 나중에 구토나 설사가 나올 수 있어서다.
발도 깨끗이 씻어줘야 하는 까닭은
만약 반려견이 발을 번갈아가면서 걷거나 잘 움직이지 않으려고 하면 산책이 불편하다는 신호다. 이때는 안아주거나 발 사이에 이물질이 끼어있는 지를 확인해야 한다.
산책 후에는 반려견 발을 깨끗하게 닦아줘야 한다. 간혹 사람용 비누를 이용해 발을 닦아주기도 하는데, 동물 피부는 사람과 다르기 때문에 개 피부에 강한 자극을 줄 수 있으니 주의한다.가능한 한 동물 전용 샴푸를 이용해 발 부근을 꼼꼼하게 닦아준다. 다 씻긴 후엔 털을 잘 말려줘야 한다. 발바닥에는 로션 등 보습제를 발라 건조하지 않게 해준다.
이와 관련, 김현욱 헬스앤메디슨 대표는 "반려견 산책은 동물복지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부분"이라며 "산책시 외부인과의 직접적인 접촉을 피하고 외출 후 발 소독 등 기본 조치를 지킨다면 사람과 동물 모두의 건강을 유지하는데 도움이 된다"고 말했다.
COCOTimes관련기사
“추운 겨울, 슬개골 탈구는 어떻게 관리하나?” 바로가기
겨울 산책, 노령견과 비만견 특히 주의해야 바로가기
“겨울철, 운동부족 안돼요!”… 아이 데리고 갈 만한 놀이터 - (1) 바로가기
반려동물 위생관리, 목욕이 전부가 아니라구요! 바로가기
이미지 출처 : 클립아트코리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