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코타임즈】 코로나19 팬데믹 여파에 따라 전세계적으로 '사회적 거리두기'와 '재택근무'가 일상화되고 있다. 그러다보니 강아지들은 보호자가 하루 종일 같이 있어주는 생활에 익숙해졌다. 그래서 보호자가 다시 출퇴근을 하는 등 기존의 일상으로 돌아갔을 때 강아지들이 분리불안을 느끼는 문제가 나타날 것이라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온다. 영국의 반려견 복지 자선단체 '독스 트러스트'(Dogs Trust)의 반려견 행동학 연구 책임자 레이첼 케이시(Rachel Casey)는 “봉쇄령 완화 이후 반려견들의 분리불안은 시한폭탄과 같다”며 “보호자가 항상 곁에 있을 것이라는 기대를 갖게 되면 주인이 이전의 일상생활로 돌아갔을 때 혼자 남겨진 것을 극복하기가 더욱 어려울 것”이라고 염려했다. 영국에서 코로나19 봉쇄령이 추가로 완화되기 시작하자 영국 <BBC>(바로가기)는 26일(현지시각) 봉쇄령 이후의 생활에 대비해 강아지를 준비시키는 방법으로 4가지 팁을 제시했다. 출처: 클립아트코리아 [일하러 나가는 척하기] 근무할 때 입는 복장으로 차 키를 집어 들고 나가는 연습을 하면 보호자가 나가는 것에 다시 익숙해질 수 있다. 처음에는 몇 분만 나갔다가 다시 돌아오는
【코코타임즈】 납중독(lead poisoning)은 혈액 내의 납 농도가 0.35ppm 이상인 상태를 말한다. 한꺼번에 많은 양의 납을 섭취했을 때 급성으로 나타나기도 하며 장기간 노출로 몸에 축적되어 나타나기도 한다. 소화계와 신경계를 비롯한 신체의 많은 기관에 영향을 미친다. 호기심에 이것저것 핥고 먹어보는 어린 강아지들에게 발병할 확률이 더 높다. 고양이에서는 납이 포함된 먼지가 털에 내려앉았을 때 그루밍을 통해서 섭취된다. 특히 어린 동물은 혈액-뇌 장벽(blood-brain barrier, BBB)의 투과성이 높으므로 신경계 증상이 나타날 확률이 높다. [증상] 납중독 증상은 주로 위장을 비롯한 소화계와 중추신경계에 나타난다. 식욕감소, 기력감퇴, 복통, 예민, 구토, 설사 또는 변비 등이 관찰된다. 과도한 침 흘림과 입안의 거품이 발생할 수 있다. 어지러운 듯 잘 걷지 못하고 동공과 눈꺼풀이 떨린다. 시력이 소실되기도 한다. 발작이 일어날 수 있다. [원인] 납이 포함된 페인트나 배관시설이 주요 원인이다. 건물에서 떨어져 나온 페인트 잔해를 삼키거나 배관 및 수도 시설을 핥아서 체내에 축적된다. 골프공, 낚시
【코코타임즈】 어떤 원인으로 장(腸) 운동이 비정상이 되어 발병한다. 특히 망원경을 접는 것처럼 장의 일부가 다른 장의 안쪽으로 들어가 겹쳐지는 경우를 '장 중첩증'(intussusceptions)이라 한다. 좁은 소장에서 굵은 대장으로 넘어가면서, 소장 맨 아랫부분 회장이 대장 앞부분에 있는 맹장으로 말려들어가는 경우가 가장 많다. 장이 말려 들어가기 시작하면 최대한 빨리 수술을 해주어야 한다. 빨리 교정하면 큰 문제가 없지만, 2~3일 지나면 장이 막히는 장폐색이나 조직 괴사 등으로 이어진다. 모든 연령에서 나타날 수 있지만 주로 1살 이하의 어린 동물에게서 나타난다. 사람도 3세 이하 영유아에게 원인 모를 장 중첩증이 주로 발병하는 것과 비슷하다. 출처: 로얄동물메디컬센터 [증상] 갑작스럽게 배가 아파서, 몸을 뒤틀며 괴로워하기 시작한다. 특히 무릎을 가슴 쪽으로 당기며 고통스러워 한다. 그러다 조용해지고, 이런 복통이 반복적으로 일어나면서 차츰 복통시간이 길어지는 경향을 보인다. 중첩된 위치에 따라 증상이 다를 수 있다. 특히 장 위쪽에 중첩이 일어났다면 복부 통증과 함께 호흡 곤란, 복부 팽창 등이 함께 나타
【코코타임즈】 현재 치료약만 있는 심장사상충에 드디어 '백신'(vaccine) 개발을 위한 연구가 본격화되고 있다. 이 연구가 성공할 경우, 약 내성이 생긴 심장사상충까지 예방할 수 있어 반려인들에겐 큰 희소식이 될 전망이다. 심장사상충은 모기 등에 의해서 전염되는 기생충으로 반려동물 심장에 자리잡아 자란다. 감염이 되면 호흡기과 순환기 등에 심각한 증상들이 나타나고 생명이 위험할 수도 있다. 미국 <수의임상뉴스>(veterinary practice news 바로가기)는 21일(현지시각), "영국 리버풀 대학(University of Liverpool) 연구진이 모리스동물재단(Morris Animal Foundation) 지원을 받아 심장사상충 백신 개발의 기초가 될 주요 단백질들을 식별하는 작업에 나섰다"고 전했다. 연구진은 이전에 심장사상충과 흡사한 사상충(filaria)에서 숙주의 면역체계를 속이는 단백질 두 가지를 발견한 바 있다. 그중 첫 번째는 면역체계가 사상충을 인식하지 못하도록 한다. 두 번째 단백질은 백혈구의 일종인 T 세포가 사상충을 공격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이렇게 2단으로 면역체계를 차단한 사상충은 숙주의 몸속에서 번창하
【코코타임즈】 쿠싱증후군(Cushing's syndrome) 또는 부신피질 기능 항진증(hyperadrenocorticism)은 신장 옆에 붙어있는 부신(adrenal glands)에서 스트레스 호르몬인 '코르티솔'(cortisol)을 과다 분비해서 생기는 내분비계 질환이다. 코르티솔은 스트레스를 받을 때 몸이 적응하도록 도와주는 호르몬이다. 스트레스 상황에 대응할 수 있도록 더 많은 혈액을 신체 각 기관으로 보내고 근육을 긴장시킨다. 또한 몸의 에너지원인 포도당이 뇌로 바로 전달될 수 있도록 집중시키는 일도 한다. 몸무게, 조직 구조, 피부 상태 등을 조율하는 것을 돕는다. 이런 코르티솔이 장기적으로 과다 분비되면 근육이 약해지고 배가 부풀거나 털이 빠지는 등 다양한 증상을 보인다. 출처: 로얄동물메디컬센터 쿠싱증후군은 고양이에선 드물지만 개에서는 상대적으로 흔하다. 주로 6세 이상의 노령견에서 발병한다. 물론 더 일찍 발병할 수도 있다. [증상] 물을 많이 마시고 소변을 자주 보며 집안에서 실수를 하거나 밤에 자다가 소변을 보는 등의 행동을 보인다. 식욕이 왕성해지며 복부에 있는 장기에 지방이 축적되어 유독 배에 살이 찌는
【코코타임즈】 눈 안에는 안방수(眼房水 aqueous humor)가 있다. 각막과 수정체 사이, 그리고 홍채와 수정체 사이를 채우고 있는 물 같은 액체. 피 속 혈장(血漿)이랑 성분이 비슷하다. 1분간 약 3㎣ 비율로 생성된다고 알려져 있다. 만들어진 안방수는 각막과 수정체 등을 지나며, 이들 조직에 영양을 공급한 후 안구 주변으로 배출된다. 하지만 어떤 이유로 안방수가 과다 생산되거나 배출이 잘 되지 않으면 안압이 높아진다. 그 결과, 망막이 분리되거나 결국 눈 시신경까지 손상시킬 수 있는데, 이를 녹내장(Glaucoma)이라 한다. 출처: 로얄동물메디컬센터 [증상] 먼저, 눈에 통증이 있어 눈을 찡그리거나 앞발로 자꾸 비빈다. 머리를 만지는 걸 싫어할 수도 있다. 식욕 부진과 기력 저하도 보인다. 자세히 보면 눈 흰자위가 빨갛게 충혈되어 있고, 눈이 부어오른 듯 보인다. 안압이 높아지며 생기는 증상들이다. 또 동공이 커져있거나, 각막이 불투명한 것처럼 보이기도 한다. 급성으로 증상이 갑자기 나타날 수도 있지만, 만성으로 천천히 나타날 수도 있다. 초기 증상은 미세한 변화로만 관찰되며, 이미 상당히 진행된 상태에서 동물병원을
【코코타임즈】 백내장(cataract)은 눈의 렌즈 역할을 하는 수정체가 뿌옇게 흐려지는 질병이다. 진행할수록 시야를 흐리게 해 결국에는 시력을 완전히 상실하게 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백내장으로 진단이 내려지면 조기에 치료하는 것이 예후가 좋다. 백내장과 비슷한 것이 '핵경화증'(nuclear sclerosis). 수정체 노화로 인해 수정체가 혼탁해지는 것은 비슷하나, 이 경우엔 시력을 잃게 되지 않아 따로 치료를 하지 않을 수도 있다. 출처: 로얄동물메디컬센터 [증상] 주요 증상으로는 수정체가 혼탁해지는 것이 관찰된다. 시력이 떨어져 벽이나 물건에 자꾸 부딪힌다. 계단을 오르내릴 때 힘들어한다. 익숙하지 않은 곳에서 돌아다니기를 꺼려 할 수도 있고 전반적으로 움직임이 어색해질 수도 있다. 간식, 밥그릇, 화장실 등을 찾는 것을 어려워하거나, 시각보다는 후각으로 찾으려는 기미도 보인다. 또 밝은 곳을 싫어하며 밖에 나가는 것을 꺼려 하기도 한다. 불안한 마음에 공격적으로 행동할 수도 있다. 초기, 미성숙, 성숙, 과성숙 단계로 구분한다. 초기 단계는 백내장이 수정체의 15% 미만을 덮은 단계다. 미성숙 단계는 초기 단계와
【코코타임즈】 용혈성 빈혈(hemolytic anemia)이란 어떤 이유에 의해서 적혈구가 과도하게 파괴되어 혈액 내의 적혈구가 부족해지는 질환이다. 적혈구가 부족하면 몸에 산소가 부족해지면 갖가지 부작용이 일어난다. [증상] 먼저 잇몸이나 눈 점막이 하얗게 변한다. 더 지나면 적혈구가 파괴되며 분출되는 '빌리루빈'(bilirubin)이라는 색소 때문에 잇몸, 귀, 눈의 흰자위가 노란색을 띠는 황달 증상이 나타난다. 빌리루빈이 소변으로도 배설되어 소변이 짙은 색을 띠기도 한다. 체내에 산소가 부족해 기력이 없고 금방 지치는 모습을 보인다. 산소 부족에 대응하기 위해 호흡과 심박수가 빨라진다. 식욕이 줄고, 체중도 준다. 뇌에 산소 공급이 부족해지면 기절할 수도 있다. 출처: Unsplash [원인] 가장 흔한 원인은 몸의 면역체계가 적혈구를 공격하는 것이다. 이를 '면역매개성 용혈성 빈혈'이라 한다. 특발성(원인 불명)인 경우가 많다. 그렇지 않다면 다른 질병이나 감염증, 독성물질 중독증에 이어 2차적으로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고양이에서는 고양이 백혈병 바이러스(FeLV)와 고양이 에이즈 바이러스(FIV)가 원인일 경우가
【코코타임즈】 흉수(pleural effusion)는 폐 주위에 있는 공간에 액체가 차오르는 현상이다. 액체의 종류에 따라 수흉(hydrothorax), 유미흉(chylothorax), 혈흉(hemothorax), 농흉(pyothorax)로 나뉜다. 수흉(水胸) 또는 '물가슴증'은 가슴 속 흉강(폐와 심장 주위의 빈 공간)에 물이 차오르는 것. 유미흉(乳糜胸)은 '암죽가슴증'이라고도 하며 지방분이 풍부해 우윳빛을 띄는 림프액이 흉강으로 빠져나오는 현상이다. 혈흉(血胸)은 '혈액가슴증'이라고도 하며 흉강 내에 피가 고여있는 상태를, 그리고 농흉(膿胸)은 '고름가슴증'이라서 흉강 내에 고름이 차있는 것을 말한다. [증상] 겉으로 보이는 증상은 모두 비슷하다. 체액이 폐에 압력을 가해 호흡이 힘들어진다. 기운이 없고 운동을 못하지만 불안해하는 모습도 보인다. 호흡이 빠르고 가빠지며 기침이 나오기도 한다. 개는 평소에도 입으로 호흡하는 경우가 많지만 고양이가 입으로 호흡하고 있으면 숨 쉬는 것이 힘들다는 뜻이다. 게다가 바로 눕지도 못한다. 잇몸이나 혀가 보라색 또는 파란색으로 질려 있다면 체내에 산소가 부족하다는 신호다. 이때는 바로 동물
【코코타임즈】 폐 안에 물이 고이면 호흡을 하기 곤란하다. 특히 고양이가 입을 벌리고 숨을 쉬면 호흡하기 힘들다는 뜻이다. 이런 폐수종(pulmonary edema)은 폐렴이나 심근증으로 인한 것이 대부분이지만, 간혹 다른 원인에 의한 것도 있다. 평소에 호흡 곤란이 어떤 것인지 숙지해 두었다가 그런 증상이 나타나면 바로 동물병원에 데려가야 한다. [증상] 처음에는 가끔 기침하는 정도로 시작하지만 점점 숨 쉬는 것을 힘들어한다. 기침은 점점 심해지며 호흡이 빨라지고 쌕쌕거린다. 숨을 쉴 때 거품소리(수포음; rale)가 들릴 수 있다. 분홍색으로 피가 섞인 거품이나 가래가 나오기도 한다. 개의 경우 앞발을 벌리고 앉아서 목을 앞으로 뻗는 자세를 취한다. 눕거나 엎드리지 못한다. 반면, 고양이는 앞발로 버티고 몸을 앞으로 기울이거나 가슴을 웅크렸다 펴기를 반복한다. 산소 부족으로 잇몸과 혀가 파란색 또는 보라색으로 변하는 청색증이 올 수 있으며 기절을 할 수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