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코타임즈】 개 물림 사고가 끊이지 않으면서 견주의 책임 강화와 함께 배상책임보험 의무가입 대상을 모든 견종으로 확대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현재는 동물보호법상 맹견으로 지정된 로트와일러, 도사견, 아메리칸 핏불테리어, 아메리칸 스태퍼드셔 테리어, 스태퍼드셔 불테리어 5종과 그 잡종의 개들만 보험 가입이 의무화돼 있다. 17일 경남 창원 진해경찰서에 따르면 지난 1월 한 인도에서 산책 중이던 진돗개가 골든 리트리버 2마리에게 공격을 당해 목과 다리에 중상을 입는 사고가 발생했다. 당시 리트리버 2마리를 끌고 산책하던 A씨는 흥분한 개들을 통제하지 못하고 목줄을 놓쳐 길 건너편에 있던 진돗개는 물론 함께 있던 B씨까지 다치게 했다. 소방청 통계자료상 2016년부터 2020년까지 5년간 발생한 국내 개 물림 사고는 모두 1만1152건이다. 하루 평균 약 6건의 크고 작은 개 물림 사고로 환자가 발생한 셈이다. 그뿐 아니라 최근 들어 개들끼리의 사고도 문제되면서 피해건수는 더 많아졌다. 전문가들에 따르면 평소 얌전하거나 사람 앞에서 순한 개들도 환경이 바뀌거나 다른 동물을 보면 물 수 있다는 인식이 필요하다. 이와 함께 동물보호법상 맹견만 가입할 수
【코코타임즈】 해마루 이차진료 동물병원(경기 성남시)이 중재술을 위주로 하는 '인터벤션(전문)센터'를 최근 개소했다. 중재술(仲裁術)은 첨단 투시장비를 이용해 최소한의 침습(侵襲)만으로 환부를 치료한다. 보통의 수술처럼 피부를 '째고' 들어가는 것이 아니라 작은 구멍만 뚫은 후 혈관이나 오줌관 등에 가느다란 의료용 카테터(catheter)을 밀어넣는다. 여기에 바늘이나 스텐트(stent, 금속그물망) 등을 달아 환부에 직접 '시술'한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관상동맥이 좁아져 심근경색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 좁아진 혈관 부위에 스텐트를 끼워 넣어 좁아진 혈관을 넓혀준다. 몸 속 작은 종양 덩어리만 떼내거나, 어느 특정 지점에만 약물을 주사해야 할 때도 사용한다. 이에 따라 사람들 병원에서 중재술은 이미 널리 쓰이고 있다. 살을 찢고 꿰매는 '수술'이 아니어서 환자 통증이 적은 것은 물론 치료 후 회복 기간도 훨씬 짧다. 수술에 따르는 출혈이나 여러 합병증도 줄일 수 있다. 최근 동물병원에서도 중재술로 강아지 고양이 환자를 치료하는 곳이 점차 늘어나고 있다. 해마루가 이번에 문을 연 인터벤션센터는 기존 영상의학센터보다 더 고도화된 전문센터다. 특수 장비를
【코코타임즈】 펫 헬스케어 스타트업 펫트너가 17억원 규모의 프리 시리즈 A 투자를 유치했다고 14일 밝혔다. 펫트너에 따르면 이번 투자에는 제이커브인베스트먼트와 글로넷벤처파트너스가 신규 참여했다. DHP(디지털헬스케어파트너스)는 후속 투자했다. 수의사가 창업한 펫트너는 수의사, 수의대생 등을 포함한 분야별 반려동물 전문가를 연결하는 온오프라인 연계(O2O) 기반 펫 헬스케어 스타트업이다. 펫트너는 이번 투자유치를 통해 반려동물 생활밀착 케어 서비스를 넘어 반려동물 헬스케어, 인슈어테크(보험+기술) 시장으로 사업을 확장할 계획이다. 국내 최초의 반려동물 건강검진센터를 세우고 스마트 건강검진 소프트웨어를 자체 개발할 예정이다. 최가림 펫트너 대표는 "반려동물 보호자가 합리적인 가격으로 종합 건강검진, 예방접종, 보험을 모두 제공받을 수 있는 패키지 상품을 판매할 예정"이라며 "반려동물의 건강과 보호자의 진료비 부담 문제를 해결하겠다"고 말했다. 박준범 제이커브인베스트먼트 대표는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펫트너의 건강관리 상품은 기존 대비 가격이 40% 수준으로 낮다"며 "건강검진부터 보험 설계까지 수의사가 진행하기 때문에 반려동물 시장에서 큰 성장을 할 것으로
【코코타임즈】 지난해 우리나라 동물약품 시장이 1조3천481억원 규모로 전년 대비 무려 10%나 커졌다. 1년 내내 아프리카돼지열병(ASF)와 고병원성 조류독감(HPAI) 등 가축 전염병이 잇따랐던 데다, 반려동물도 평균 수명이 늘어가는 고령화 추세가 지속되면서 동물병원의 진료 횟수와 투약 기간이 길어지는 영향이다. 또 해외에서 K-방역의 기술력을 인정하면서 우리나라 동물약품의 수출이 늘어난 것도 큰 이유. 이에 따라 지난 2017년 처음으로 1조원대에 올라선 우리나라 동물약품 시장은 4년 만에 1조3천억원대를 돌파했다. 7일 한국동물약품협회(회장 정병곤)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에서 생산된 전체 동물약품은 9천429억원 어치였다. 그 중 5천177억원(55%) 어치는 국내에서 내수용으로 사용됐고, 나머지 4천252억원(45%) 어치는 해외로 수출했다. 1천15개 동물약품업체들이 지난해 1만8천679개 약품들을 생산한 결과다. 특히 지난해의 경우 반려동물용 의약품으로 품목허가를 새로 신고한 품목만 636건이나 됐다. 2020년에 비해 14.6% 증가한 것. 코로나19로 인한 원료 단가 상승, 물류난 등 여러 가지 악재 속에서도 동물약품 산업이 생산은 물론 R&a
【코코타임즈】 농림축산검역본부(본부장 박봉균)는 한국동물약품협회와 함께 ‘동물용 의약품 등 비임상시험 실시기관 전문교육’을 온라인(ZOOM 영상회의)으로 10일과 24일 두 차례 실시한다. 동물 약품 제조‧수입사와 비임상 시험실시기관 등 150여 업체가 그 대상이다. 10일 제1차 교육은 ‘비임상시험 제도 및 관리기준의 이해’가 주제다. 인체의약품 분야 OECD 회원국 간 상호인정 GLP(Good Laboratory Practice, 비임상시험 관리기준) 제도 및 국내 운영현황, 신약 개발과정에 있어서 비임상시험의 역할에 대한 정보를 공유한다. 또 동물용의약품 비임상시험을 수행할 때 주의해야 할 시험 동물과 시험물질에 대한 중요 관리사항, 신뢰성 보증 심화 교육, 동물용의약품의 비임상시험 결과보고서 고려사항 등도 안내한다. 24일 제2차 교육은 동물용의약품 등 잔류성 분야 비임상시험 역량 강화를 중심으로 진행된다. 동물용의약외품과 농약의 이중 사용과 관련하여 잔류성 평가 접근방법에 대한 국제전문가의 강의와 동물약품국제기술조정위원회(VICH, Veterinary International Conference on Harmonization) 및 외국의 잔류분석 시
【코코타임즈】 처음 실시된 제1회 동물보건사 국가자격시험에서 2천544명이 필기시험에 합격했다. 총 3천170여 명이 응시한 것을 감안하면 합격률은 80.2%다. 응시자들은 지난달 27일, 경기도 고양시 킨텍스(KINTEX)에서 오전 10시부터 4개 과목 총 200문항을 풀어 과목당 40점 이상, 전 과목 평균 60점 이상을 받았다. 합격자 명단은 ‘동물보건사 자격시험 관리시스템’(www.vt-exam.or.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17일 오후6시까지 합격자 필수 제출서류 모두 업로드해야 필기시험 합격자는 이에 따라 오는 17일(목) 오후 6시까지 ‘동물보건사 자격시험 관리시스템’(www.vt-exam.or.kr)에 접속해 ‘합격자 필수 제출서류’를 업로드해야 한다. ‘정신질환자’(정신건강 증진 및 정신질환자 복지서비스 지원에 관한 법률 제3조제1호)와 ‘마약, 대마(大麻), 그 밖의 향정신성의약품(向精神性醫藥品) 중독자’(수의사법 제5조제3호)가 아니라는 의사의 진단서와 응시자 증명사진 2장 등은 공통 제출서류다. 여기에 ‘동물보건사 양성기관 평가인증 교육기관’을 졸업한 이는 해당 학교의 졸업증명서(또는 졸업예정증명서)를 추가 제출하면 된다. 지금까지
【코코타임즈】 반려견 전용 항암 면역치료제를 개발해온 ㈜박셀바이오(대표 이제중)가 경남 진주 경상국립대를 임상연구 파트너로 추가했다. 또 개발을 총괄할 동물의약품 책임자로 이재일 전남대 수의대 교수를 새로 영입했다. 지난해 말 반려동물용 항암제 ‘품목허가’ 신청을 자진 철회하기까지 했던 박셀바이오가 임상시험에서의 약점을 보완하는 한편, 조직을 정비해 항암제 상업화에 다시 도전하겠다는 것. 2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박셀바이오는 지난 2020년 10월 농림축산검역본부에 동물의약품으로 ‘박스루킨-15(Vaxleukin-15)’의 '품목허가'를 신청했다. 당시 박셀바이오는 "박스루킨-15는 강아지 유전체에서 직접 유전자를 클로닝 해 치료제를 개발했다"면서 "사람용 항암제를 사용해 반려견을 치료했을 때보다 부작용이 적고 치료 효과도 높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했었다 박셀바이오 기술고문 김상기 교수(공주대 특수동물학과)도 ‘2019 화순국제백신포럼'에서 “임상시험 결과 67%의 질병 조절률과 93%의 높은 보호자 만족도를 확인했다”고 발표한 바 있다. 그러나 "여러 단계의 임상시험도 다 끝냈으니 이젠 제품을 본격 생산하겠다"는 ‘품목허가’는 계속 브레이크가 걸렸다. 한때
【코코타임즈】 수의사 지식나눔 플랫폼 '벳채널'(Vet Channel)이 22일 오후 10시, 또 하나의 경영환경 세미나를 준비했다. 이번 주제는 "Maximizing the Process of Value Chain in Daily Practice"(동물병원 경영의 최적화를 통한 보호자 가치 증대)를 주제로, 미국 Henry Yoo (헨리유) 박사가 연사로 나선다. Henry Yoo (헨리유) 박사는 Infinity 의료컨설팅 최고 자문위원이자 미국 Western University 병원 경영‧관리 외래교수다. 그는 이번 세미나에서 3가지 질문을 던진다. 1. 서비스 가치는 어떻게 높여나갈 수 있는지(Learn how the values of the service escalates), 2.가치 사슬의 각 단계에 누가 역할을 해야 하는지(Who is responsible for each step of value chain?), 3.동물병원 스태프는 그런 가치 사슬에 얼마나 기여할 수 있는지(How much can the staff contribute to the Value Chain?) 등. 동물병원의 경영을 개선하고 브랜드를 키우는 '가치 사슬'(Value
【코코타임즈】 국내 대표적 제약사의 하나인 '유한양행'의 반려동물 브랜드 4개가 오는 25~27일 광주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열리는 ‘제11회 광주펫쇼(G-PET 2022)’에 모두 출격한다. 무려 8개 부스 규모다. 유한양행은 지난해 5월 국내 최초 반려견 인지기능장애치료제 ‘제다큐어’를 출시하고, 11월 토탈펫케어 브랜드 ‘윌로펫’을 론칭하는 등 반려동물 관련 사업을 확대해 나가고 있다. 이번 광주펫쇼에는 유한양행의 반려동물 브랜드 △윌로펫 △유한벳 △웰니스 △윔지스 등이 모두 출격한다. 윌로펫은 소프트 사료와 간식, 유한벳은 수의사 처방사료와 의약품 및 의약외품, 웰니스는 내추럴 펫푸드, 윔지스는 강아지 내츄럴덴탈 트릿 브랜드다. 광주펫쇼에선 참관객들을 위한 ‘100% 당첨 꽝 없는 룰렛’을 통해 사료와 간식은 물론 스페셜 사은품 등을 증정할 예정이다.
【코코타임즈】 반려동물 펫푸드와 간식, 용품 등을 제조·판매하는 소형 업체들이 모인 한국펫산업소매협회(회장 이기재)가 대선을 앞두고 "여야에 '반려동물산업육성법' 제정을 건의했다"고 17일 밝혔다. "반려동물산업육성법을 제정해 일자리를 체계적으로 육성하면 앞으로 외국처럼 반려동물 시장이 발전했을 때 30만 명 정도의 신규 일자리가 창출될 것"이라는 것이다. 협회는 그 근거로 "강아지, 고양이를 가족처럼 생각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관련 일자리 선호도가 높다"면서 "특성화 고등학교와 대학에서도 반려동물 관련학과 졸업생이 매년 수천명씩 배출되고 있는 실정"이라 했다. 협회는 이어 차기 정부는 우리나라 반려동물 정책 방향을 달리 할 것을 주문했다. "현재 우리 정책은 버려지는 유기동물과 유실동물 위주로 돼 있다. 그나마도 유기동물 발생 원인을 잘못 분석해 실정에 맞지 않는 정책을 펴고 있다. 그러나 유기동물의 70~80%는 시골개, 마당개, 떠돌이개 등 혼종과 길고양들이다." 이에 따라 협회는 "그에 맞는 정책을 펴야 유기동물이 줄어든다. 더 나아가 앞으로는 유기동물 위주 정책에서 벗어나 (누구나) 동물을 잘 키울 수 있도록 돕는 정책을 만들 때"라며 "반려동물 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