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코타임즈】 티베탄 테리어(Tibetan Terrier)는 약 2000년 전부터 라마교도들이 가족의 구성원으로 생각하며 극진히 길러온 품종이다. 순수한 혈통이 아니면 재앙을 불러온다고 믿었기 때문에 티베탄 테리어의 교배는 순수 혈통으로 철저하게 지켜져 왔으며, 귀신을 쫓고 행운을 가져오는 개로 생각해 소중하게 사육돼 왔다. 라사압소를 이 개의 조상으로 추측하고 있으며, 이름은 티베탄 테리어지만, 테리어는 이 개의 크기 때문에 붙여진 것이다. 실지로 티베탄 테리어의 역할은 가축을 모는 목양견에 속하며, 험준한 라마교도 지역을 찾는 순례자들의 길을 안내하는 역할로도 이용되기도 했다. 영국의 그리그라는 의사가 1930년에 영국으로 들여와 알려지기 시작했으며, 미국에는 1956년도에 전해졌고 AKC에는 1973년 정식으로 등록되었다. 티베탄 테리어는 적당한 비율의 머리에 크고 짙은 갈색의 눈을 가지고 있으며, 발은 유난히 크고 넓적하다. 등위로 말린 풍성한 꼬리는 우아하고 기품있는 이미지를 만들어 주기도 한다. 두껍고 부드러운 이중 모를 가지고 있으며, 곱슬거리거나 곧은 모습으로 끝없이 길게 자라는 특징이 있다. 티베탄 테리어의 부드럽고 풍성한 털은 야크의 털과
【코코타임즈】 스코티쉬 폴드가 최초로 발견된 것은 스코틀랜드 테이사이드 지역의 한 농장이였는데, 발견 지역인 스코틀랜드(Scottish)와 귀가 접힌(Fold) 특이한 생김새 때문에 스코티쉬 폴드라는 이름이 붙었다. 이후 브리티쉬 쇼트 헤어, 아메리카 쇼트 헤어 엑조틱, 페르시안과 교배 뒤 현재의 스코티쉬 폴드 외형이 갖춰졌다. 가장 눈에 띄는 외형적 특징은 접힌 귀의 모양인데, 이는 우성 유전자에 의한 것으로 접히지 않는 귀를 가진 새끼 고양이가 태어나기도 한다. 몸은 전체적으로 짧고 통통하다. 짧거나 긴 털 모두 태어날 수 있고 장모 스코티쉬 폴드는 스코티쉬 폴드 롱헤어(Scottish Fold Longhair) 또는 하이랜드 폴드(Highland Fold)라고도 부른다. 부드럽고 촘촘한 털을 갖고 있으며 색은 다양한 편이다. 머리는 넓고 주둥이는 짧으며, 미간의 거리가 멀다. 구릿빛의 눈동자 색이 일반적이다. *귀 모양에 따라 분류되는 형태 싱글 폴드 : 귀가 절반 정도 접혀 있는 형태 더블 폴드 : 귀 끝이 머리에 닿을 정도로 접혀있는 형태 트리플 폴드 : 귀가 머리에 거의 붙은 상태이므로 귀가 거의 보이지 않
【코코타임즈】 해리어(Harrier)는 노르만어로 '개' 또는 '하운드'의 뜻을 가지고 있으며, 1260년경 영국의 '엘리어스 드 미드호프(Elias de Midhope)'라는 사람에 의해 처음으로 알려지기 시작했다. 해리어가 처음 탄생 했을 때는 냄새로 사냥감을 쫓는 후각형 사냥견으로써 산토끼 등 작은 동물의 사냥에 이용하기 위해 만들어졌지만, 예상보다 뛰어난 해리어의 사냥 능력으로 여우나 오소리 등 조금 더 큰 동물의 사냥에까지 이용하게 되었다. 탁월한 능력을 인정받게 된 해리어는 영국의 귀족들은 물론, 비싼 가격 때문에 말을 키우지 못하는 가난한 사람들이 이 개를 두세 마리씩 키우며 도움을 받는 귀하고 고마운 존재가 되기도 했다. 해리어는 바셋하운드의 영향을 받은 악마견 비글과 잉글리시 폭스 하운드(English Foxhound)를 오랜 세월 선택 교배시켜 만들어낸 품종으로, 비글과 잉글리시 폭스 하운드 중간쯤의 체격을 가지고 있다. 외모는 비글과 더 닮은 듯 하지만, 다행히 성격은 잉글리시 폭스 하운드 쪽에 가깝다. AKC(미국 켄넬 클럽)에는 1885년 공식 인정되었다. 해리어는 전체적으로 마르고 날렵하며 탄탄한 체형을 가지고 있다. 중간 크기의 머
【코코타임즈】 라팜(La Perm)은 자연적인 돌연변이에 의해 발생한 품종이다. 1982년 미국 오리건주의 체리 농원에서 새끼 고양이 여섯 마리가 태어났는데 이 중의 한 마리가 다른 새끼들과 다르게 몸에 털이 하나도 없고 피부에는 푸른 반점이 있었다. 이 새끼고양이는 태어난 지 8주가량 지나자 몸에서 털이 나기 시작했고 3~4주가 지나자 부드럽고 곱슬곱슬한 털이 온몸을 뒤덮었다. 이후, 이 새끼 고양이가 성묘가 되어 새끼를 낳았고 그 새끼 중 일부에서도 위와 마찬가지로 부드럽고 곱슬곱슬한 털이 관찰됐으며 지금의 라팜 고양이는 이 고양이들을 개량해서 만들어지게 된 것이다. 라팜 고양이의 털은 긴 것도 있고 짧은 것도 있으며 물결같이 곱슬 거리는 모양을 하고 있다. 다양한 색상을 가지고 있는 라팜의 털은 비단처럼 부드럽고 매끈하다. 특히 배와 목, 귀 아래쪽에서 더 잘 보여지며 잘 엉키지 않아 관리가 쉽고 알레르기 유발도 적은 편이다. 1997년에 국제 고양이 애호가협회에 인정을 받았으며 국제 고양이 협회에는 2003년, 영국 고양이 애호가관리 협회에는 2008년에 등록되어 라팜 고양이의 역사는 비교적 짧은 편이다. 건강한
【코코타임즈】 시베리안 허스키(Siberian husky)는 영하 75도를 오르내리던 시베리아 최북단의 유목민 척치(Chukchi)족이 키우던 견종. 1900년, 알래스카에 사는 미국인들에게 썰매를 끄는 개로 인기가 많았던 알래스칸 말라뮤트와 비슷한 외모 때문에 관심을 받다가 1909년 모피 상인 윌리엄 구삭에 의해 북아메리카로 반입됐다. 그해 알래스카에서 개최된 개썰매 대회에서 좋은 성적을 거두며 본격적으로 알려지기 시작했다. 시베리안 허스키의 인내력과 스피드, 그리고 적은 먹이로 장시간을 달릴 수 있는 지구력은 이 개의 가장 큰 특징이라 할 수 있겠다. 알래스칸 말라뮤트에 비해 체격은 작지만, 더 씩씩한 편이다. 늑대를 닮은 외모 때문에 처음에는 가까이하기 어려웠지만 실지 성격은 명랑하고 쾌활하다. 경계심이 강한 편이지만 장난 치는 것도 좋아하며 주인에게는 순종적이고 충성심이 강하다. 황색 털을 가진 품종도 있지만, 대개는 검은색과 흰색, 또는 회색과 흰색의 혼합 색상을 하고 있다. 빽빽한 이중털 덕분에 추위에 강해 눈밭에서 잠이 들어도 끄덕 없다. 풍부한 털을 가진 꼬리는 중간 정도의 길이이며 곧은 앞발에 어깨는 경사져 있고 근육이 붙어있어 탄탄한 편이
【코코타임즈】 제페니스 친(Japanese Chin)은 중국에서 신라로 먼저 들어왔으며, 732년 신라가 일본에 선물로 전달하면서 유명해진 품종이다. 이 개의 정확한 기원은 밝혀지지 않았지만, 고대 중국 사원의 유물에서도 친의 모습이 발견되는 등, 어림잡아도 2700년 이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코가 눌린 친의 얼굴 때문에 페키니즈나 퍼그와는 피를 나눈 형제견이 아닐까 추측하고 있으며, 일본에서는 황실과 귀족 계층에서만 기를 수 있을 만큼 대단한 총애를 받았었다고 전해온다. 1853년 도에 페리 제독이 빅토리아 여왕에게 선물로 전하면서 유럽에도 알려지기 시작했으며, 미국에는 1882년 뉴욕 전람회를 통해 처음 소개됐었다. AKC(미국 켄넬 클럽)에는 1888년에 인정받았으며, 일본 출신으로는 가장 먼저 정식으로 인정받은 품종이기도 하다. 제페니스 친의 털은 곱슬거림이 전혀 없고 얼굴을 제외한 몸 전체를 덮고 있으며, 촉감은 매우 부드럽고 고급스럽다. 목 부분의 털은 밖으로 뻗치는 특징이 있으며, 색깔은 흰색과 검은색, 황갈색과 흰색, 황갈색을 띠는 검은색과 흰색이 대부분이다. 잘 정돈된 느낌의 둥글고 예쁜 이마를 가지고 있으며, 아몬드 모양의 눈은 튀어나와
【코코타임즈】 브리타니(Brittany)는 사냥감을 발견하면 몸을 숙이거나 특별한 몸짓 등의 신호로 사냥감의 위치를 알려주는 포인팅독으로 활약했던 수렵견이다. 1800년대 프랑스 북부의 브리타니 지역에서 유래하였으며, 스파니엘과 잉글리시 세터의 교배를 통해 탄생한 품종으로 알려져 있다. 브리타니의 원래 이름은 ‘브리타니 스파니엘(Brittany Spaniel)’이었으나 1930년대 미국으로 유입되면서 ‘브리타니’라 불리게 되었다. AKC에서는 1934년에 처음으로 인정받았다. 충성심 강하기로 유명한 브리타니는 하나를 가르쳐주면 둘을 알아듣는 아주 영리한 품종이며 사냥견 특유의 뛰어난 시각과 후각도 유난히 발달한것으로 알려져 있다. 육지뿐 아니라 깊고 차가운 물 속의 사냥도 두려워하지 않아 수색견으로도 인기가 높다. 대부분 순종적이고 유순하기 때문에 훈련이 쉽고 효과도 좋다. 사람이나 다른 동물과의 친화력도 좋아 도심 생활에도 적합하지만, 하루 한 시간 이상의 운동은 꼭 필요로 한다. 브리타니는 태어날 때부터 꼬리가 없거나 있어도 그 길이가 아주 짧다. 성견이 되어도 꼬리의 총 길이는 4인치를 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머리는 쐐기 모양이며 입은 끝으로 갈
【코코타임즈】 오스트레일리안 셰퍼드(Australian Shepherd)는 1800년대에 오스트레일리아에서 미국으로 이주해온 개척자가 목양견 스페니쉬독을 베이스로 미국의 콜리와 딩고를 교배시켜 탄생시킨 품종으로 알려져 있다. 하루종일 일하고 훈련받아도 지치지 않을 만큼 강한 체력을 가지고 있다. 오스트레일리안 셰퍼드 특유의 넘치는 활력 덕분에 만약 운동량이 부족하면 불안해하고 난폭해질 수도 있다. 하지만, 착하고 충성스러운 성품 덕분에 낯선 사람이나 다른 개들에게 함부로 공격적이지는 않다. 또한, 선천적인 보호 본능 덕분에 주인에서 매우 헌신적이고 주의 깊으며 충성스러운 보호자가 될 수 있다. 털은 중간 정도 길이에 약간 곱슬 거린다. 감촉은 벨벳 질감의 부드러운 느낌이며 청회색, 흰색, 검정, 붉은 청회색, 적색 또는 흰색 반점과 황갈색 반점 등 다양한 색깔이 있다. 다리와 목 아래쪽에 털이 많은 편이며 머리털도 수북하고 목과 가슴 위쪽에는 주름이 있다. 목양견의 기능 외에도 경찰 활동과 맹인등 신체적 장애를 가진 사람들을 돕는 일에 활용되고 있으며 애완용으로도 가치가 있다. 아파트 생활은 권장되지 않으며 넓은 마당이 있는 환경이 잘 맞는 품종이다. 평균
【코코타임즈】 보더 테리어(Border Terrier)는 영국의 아주 오래된 견종으로 알려져 있다. 베들링턴 테리어(Bedlington terrier)와 영국의 워킹 테리어(Working Terrier) 교배로 탄생한 품종. 스코틀랜드와 잉글랜드의 국경 지역에서 여우 등으로부터 양을 보호하려는 목적으로 길러지던, 목양견 겸 사냥개였다. 특히 사냥개로서의 능력은 대형 수렵견과 견주어도 결코 뒤지지 않을 만큼 뛰어났다. 기록에는 여우굴로 들어가 그곳의 여우를 몰아서 내쫓는 역할도 한 것으로 나타나 있다. 다른 목양견 사냥개들에 비해 몸집은 많이 작지만, 달리는 속도가 빠르고 주로 굴 속에 살던 여우를 쫓아가기에는 오히려 이상적인 조건이었기 때문. 발은 작고 다리는 긴 편이며, 수달과 닮은 얼굴에 짧은 수염이 나 있는 특징이 있다. 털은 질기고 강한 철사와 같은 느낌으로 거칠게 뛰어다니는 보더 테리어 몸을 보호하기에 아주 유익한 역할을 하고 있다. 털 색깔은 담황색과 적색, 짙은 청색과 황색, 또는 회색빛이 도는 황색 등이 있으며, 가슴에는 흰색 털이 나 있기도 한다. 눈은 검고 예리한 느낌이며, 주둥이 부분은 어두운 색을 띠고 있다. 꼬리는 굵은 편이지만 끝으로
【코코타임즈】 불독의 원래 고향은 영국. 하지만 1860년대, 프랑스에서 불독에 퍼그, 그리고 테리어를 교배하여 만들어진 견종이 바로 프렌치 불독이다. 그러므로 프렌치 불독은 말 그대로 프랑스가 고향인 것이다. 털은 짧으면서 가늘고 매끈하며, 피부가 부드러워 몸에 주름이 많이 잡히는 편이다. 주름진 피부를 그대로 방치하면 위생에 좋지 않으며 침도 많이 흘리는 편이라 특히 얼굴 주름 사이는 깨끗하게 닦아 청결을 유지해 주는 것이 좋다. 털이 짧아 얽히는 일은 없지만 털 빠짐이 많은 편이고 빠진 털은 공중으로 날리기보다는 바닥에 떨어지는 다소 무거운 성질이다. 몸에 비해 큰 머리와 박쥐의 날개처럼 뾰족하고 끝이 둥글며 쫑긋하게 서 있는 귀가 특징적이다. 프렌치 불독은 얼핏 무서워 보일 수도 있지만 실지 성격은 공격성이 없고 놀기를 좋아하며 호기심도 많은 편이다. 잘 짖지 않고 순종적이며 사람을 잘 따르는 성격이라 집에서 기르기 적당하다. 운동량이 많고 활동적인 편이라 비만 예방을 위해 평소 충분히 운동이나 산책을 시켜 줘야 하지만 더위를 잘 타는 편이므로 무더운 여름날의 운동은 피하는 것이 좋겠다. 또한, 프렌치 불독의 얼굴은 코가 눌린 구조 때문에 기도가 짧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