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코타임즈】 사람이 100세 시대로 가듯, 반려동물은 이제 20세 시대다. 강아지 고양이 평균 수명이 그만큼 빠르게 늘어나고 있는 것. 그에 따라 노화로 인해 발생하는 질병도 늘어간다. 그 대표적인 게 바로 암(cancer)이다. 그렇다면 내 강아지가 암에 걸릴 위험은 얼마나 되는 걸까? 그 중에서도 어떤 종류 암에 취약한 걸까? 최근 미국 수의암학회(VCS; Veterinary Cancer Society)는 '암 보고서'에서 "강아지 4마리 중 1마리는 언젠가 암에 걸린다"고 추산했다. 게다가 "10세 이상 강아지 중 거의 50% 정도가 암에 걸릴 것"이라고 했다. 놀랍게도 미국 국립암연구소(National Cancer Institute)에 따르면, 매년 보고되는 강아지의 암 진단 케이스는 약 600만 건에 달했다. 그렇다면 어떤 종류의 암이, 어떤 종의 강아지에게 취약한 걸까? 먼저, 가장 흔히 볼 수 있는 암은 림프종(Lymphoma)이다. AAHA는 “이는 사람보다도 발병률이 2~5배 정도 높다"라며 “전체 강아지의 암 발생률에서 약 20% 정도를 차지한다"라고 설명했다. 림프종은 턱 밑, 어깨 앞, 무릎 뒤쪽에 있는 림프절에서 가장 많이 발병된다.
【코코타임즈】 올해 6세인 치와와 사랑이는 최근 왼쪽 눈이 하얗게 변하는 증상이 확인돼 병원을 찾았습니다. 검사 결과 사랑이는 백내장으로 진단됐습니다. 백내장은 수정체의 혼탁으로 정의되며 개에서 흔한 안과 질환입니다. 이 질환은 백내장이 진행될 경우 시력소실에 이를 수 있어 보호자 사이에서도 관심이 많습니다. 백내장은 노령성으로 생긴다고 많이 알고 있습니다. 그러나 사실 어린 강아지들을 포함해 모든 개들이 백내장으로부터 자유롭지는 않습니다. 반려동물에서는 어린 나이에 발생하는 유전성 백내장도 많습니다. 다른 안과 질환이나 내과 질환에 의해서 백내장이 유발되기도 하고, 외상에 의해 발생하기도 합니다. 원인에 따라 일부 백내장은 진행 속도가 매우 빨라서 며칠 사이에 시력소실에 이를 수 있기에 주의가 필요합니다. 진단이 빠를수록 합병증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백내장은 진행 정도에 따라 1~4단계로 분류합니다. 단계에 따라서 관리, 치료 방법이 달라집니다. 1단계 또는 2단계 초기에서는 시력 저하가 나타나지 않기 때문에 수술을 권하지 않고 수개월 단위의 재검을 통해 백내장 진행 여부를 관찰합니다. 2단계 중기 이후부터는 시력 저하가 나타나고, 3단계 이후부터는 시력
【코코타임즈】 불 마스티프(Bull Mastiff)는 침입자로부터의 방어를 목적으로 1860년 대경 영국 사냥터의 관리인들이 개발해낸 품종이다. 당시의 밀렵꾼들은 자신들의 밀렵이 발각되면 중벌에 처해지는 것을 피하고자 사냥터의 경비원들을 사살하곤 했었다. 이 때문에 경비원들은 스스로를 보호해야만 했고 자신들을 보호해 줄 경비견이 필요했던 것이다. 불 마스티프는 마스티프와 불독의 교배로 탄생했으며, 마스티프 특유의 엄청난 힘과 속도, 뛰어난 후각에 불독의 용맹성을 겸비시켜 최고의 번견으로 완성시킨 것이다. 1871년, 사자와 싸웠다는 기록이 있을 만큼 매우 용감하고 강한 견종이며, 주인의 명령을 받으면 별도의 신호가 내려질 때까지 밀렵꾼들을 물고 늘어지는 기질을 발휘했었다. 영국의 켄넬 클럽에서는 1924년에 독립된 견종으로 인정받았으며, 미국의 켄넬 클럽(AKC)에서는 1933년에 공식 인정되었다. 불 마스티프는 단단하고 강한 골격과 품격 넘치는 외형을 가지고 있다. 마스티프보다 체구는 작지만 달리는 속도는 더 빠르다. 긴장하거나 예민한 상황에서는 이마에 주름이 생기며 생각하는듯한 표정을 짓는다. 입술과 눈, 코, 귀 주위는 검을수록 좋은 평을 받게 되며,
【코코타임즈】 카네 코르소(Cane Corso)는 인상부터 무서운 맹견으로 손꼽힌다. 2015년 개봉된 영화 '베테랑'에서 주인공 유아인이 키우던 사냥개로 나와 큰 주목을 받았다. 또 예전엔 밭일하던 주인을 구하기 위해 멧돼지와 싸우다 죽은 견종으로 방송에 나왔을 만큼 주인에게 충성스럽고, 우직하다. 현재 우리나라에 살고 있는 카네 코르소 종은 덩치를 작게 만드는 종자 개량을 거쳐 들여온 것들이 대부분. 그래서 원산지 이탈리아의 카네 코르소에 비해 크기가 다소 작은 편이다. 또 카네 코르소는 순간 속력이 지구 상에서 가장 빠른 견종으로도 유명하다. 투견 서열에서는 항상 최상위권에 있을 만큼 대단한 공격력을 갖고 있다. 강하고 거칠어 보이는 인상, 게다가 주인 외 낯선 사람이나 타 견종에게는 굉장히 배타적이고 공격적이라 '마피아 경비견'으로도 활용됐었다. 훈련을 통해 경비견으로 만들어지기보다는 낯선 사람에 대한 본능적인 경계심과 한번 물면 끝까지 늘어지는 타고난 성격 자체가 이미 훌륭한 경비견인 것이다. 그렇지만, 평상시 가족과 지낼 때는 거의 소심하고 순종적인 모습이다. Cane Corso는 미국식 발음인 '케인 코르소'로 불리기도 하지만, 원산지인 아탈리아
【코코타임즈】 그레이트 피레니즈(Great Pyrenees)는 BC 1천 년경 아리아인(Aryans)이 유럽으로 이주할 때 함께 들여가 피레네 산맥에서 늑대나 곰으로부터 양 떼를 지키거나 썰매를 끄는 데 이용되던 사역견이었다. 중앙아시아 마스티프 계통의 후손으로 예측되며 인간과 가장 오랫동안 함께 살아온 사역견으로도 기록되고 있다. 그레이트 피레니즈는 원래 농민들의 개로 여겨졌었지만, 1675년 루이 14세가 그레이트 피레니즈를 프랑스 왕실 견이라 선언한 후로 프랑스의 왕족과 귀족에게 무한 사랑을 받으며, 애완견으로서 본격적으로 유명해지게 되었다. 프랑스 중앙애견연합(SCC)에는 1923년에 등록되었으며, AKC(American Kennel Club.미국 컨넬클럽)에서는 1933년에 독립된 품종으로 인정받았다. 우리나라에서는 KBS 1박 2일의 마스코트였던 상근이로 유명해진 품종이다. 그레이트 피레니즈는 북극의 백곰을 연상시키듯 전체적으로 크고 둥실둥실한 체형에 온몸은 순백의 털로 덮여있다. 간혹 흰색에 회색이나 노란색, 옅은 황갈색 등의 색깔이 섞여 얼룩무늬를 띠는 아이들도 있지만 대부분 순백색이라 보면 되겠다. 두껍고 부드러운 속 털과 약간 곱슬이거나 곧
【코코타임즈】 건강한 사람 눈에도 눈곱이 끼듯, 개에게 눈곱이 끼는 것도 큰 문제가 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눈곱 색이 평소와 다르거나 눈 밑 얼룩이 진하면 원인을 알아볼 필요가 있다. 일단, 개의 눈곱이 노랗거나 녹색을 띤다면 세균 감염이 원인일 확률이 크다. 눈에 세균이 감염됐을 때는 눈이 빨개지거나 개가 눈을 문지르고, 과도하게 깜박거리는 이상 행동도 함께 보인다. 반드시 항생제 등으로 치료해야 한다. 눈의 세균 감염은 방치하면 증상이 갈수록 심해지고, 눈의 면역력도 계속 떨어지기 때문이다. 눈의 세균 감염은 호흡기나 신경계 등 다른 부위 이상과 연관됐을 수 있어 일단 검사를 받아보는 게 중요하다. 털빛이 밝은 개들은 눈 밑에 적갈색 얼룩이 생기는 경우가 많다. 이는 눈물에 든 '포르피린'이라는 물질 탓이다. 이 물질은 공기에 오랜 시간 노출되면 적갈색으로 변한다. 털빛이 희면 얼룩이 상대적으로 더 잘 드러나는 것이다. 눈물 얼룩을 병으로 생각할 필요는 없다. 하지만 내버려 두면 세균이 번식해 악취와 피부병을 유발할 수 있다. 부드러운 천을 미지근한 물이나 생리식염수에 적셔 닦아주는 것이 좋다. 솜은 이용하지 말자. 솜 보풀이 눈가 털에 달라붙어
【코코타임즈】 사람에게 A, B, O, AB, 4가지 혈액형이 있는 것처럼 개와 고양이에게도 혈액형이 있다. 그러나 많은 반려견 보호자들이 혈액형을 모르고 있는 경우가 많다. 개나 고양이가 콩팥병, 종양 등으로 빈혈이 생겨 갑자기 수혈을 받아야 한다면 먼저 혈액형을 판별해야 하는 데 말이다. 거기에 더해 혈액 적합성 검사도 받아야 한다. 강아지 혈액형은 7가지 개의 혈액형은 총 20개 정도가 보고돼 있다. 그 중에서 국제적으로는 크게 7가지가 인정되고 있다. 개의 혈액형은 '디이에이(DEA·Dog Erythrocyte Antigen)'로 표현한다. DEA 1-, DEA1.1, DEA 1.2, DEA3, DEA4, DEA5, DEA7 등이 있다. 우리나라 한국동물혈액은행 자료에 따르면, DEA 1.1형의 강아지가 89%,DEA 1.2형의 강아지가 6%,DEA 1(-)형의 강아지가 5%정도 비율로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런데 개는 '동종항체'(자연 발생 항체)가 없다. 즉, 첫 수혈 시 혈액형과 상관없이 수혈 가능하다. 하지만 수혈을 한 번이라도 이전에 받았다면 그 혈액형에 대한 항체가 형성돼 반드시 '교차반응 검사' 후에 혈액형을 확인해 수혈 받아야 한
【코코타임즈】 오시캣(Ocicat)은 1964년 미국에서 아비시니안과 샤미즈(샴)의 교배 실험을 통해 탄생한 품종이다. 그 후 아메리칸 쇼트헤어와도 교배되어 다양하고 우수한 유전성을 지닌 현재의 오시캣으로 개량되었다. 매력적인 표범 무늬로 유명한 야생 고양이 오셀롯과 닮았다는 이유로 오시캣이라 불리게 됐지만, 오시캣의 성격에서 야행성은 전혀 찾아볼 수 없으며 오히려 보통 고양이보다 더 온순한 편이다. CFA에는 1987년 등록되었다. 아비시니안의 체형을 그대로 물려받았지만 오시캣이 조금 더 크고 단단하며 근육질의 몸을 가지고 있다. 움직임은 빠르면서도 부드럽고 우아하다. 오시캣 외형의 특징은 무엇보다 야성적 느낌의 강렬한 스포트 무늬이다. 새끼 고양이때는 얼핏 줄무늬 느낌이지만, 자라면서 스포트 무늬로 바뀌며 더욱 매력적인 모습이 된다. 연한 황색이나 은색의 바탕에 표범을 연상시키는 짙고 뚜렷한 스포트 무늬가 일반적이다. 단모종의 가늘고 윤기 나는 털이 온몸을 덮고 있다. 아몬드 모양의 커다란 눈에 짙은 색과 밝은색의 털로 테두리가 있으며 이마에는 M자 무늬가 있다. 오시캣은 들고양이를 닮은 야성적 외모와는 달리 실지 성격은 주인에게 헌신적이고 애교 많은 개
【코코타임즈】 고양이가 밥을 먹을 때 고개를 갸웃거린다든지 좀처럼 음식을 먹으려 하지 않는다면 입 안을 살펴봐야 한다. 입속 건강에 적색 불이 켜진 상태다. 3세 이상 고양이의 30~35%는 만성 구내염이나 치주 질환을 앓고 있을 가능성이 큰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 중 치주 질환은 전신 노화를 가속시키고, 종양이나 심장질환을 불러올 수 있는 병이다. 선천적인 요인도 있지만 입맛이 까다로운 고양이를 위해 간이 센 음식이나 부드러운 사료를 자주 준 것 또한 큰 원인이다. 이런 음식은 세균과 혼합돼 쉽게 치아 표면에 달라붙고 치석을 만들어낸다. 치과 질환으로 시달리는 고양이는 구취가 나고 입 주변 털이 침으로 거뭇거뭇하다. 충치 초반에는 이에 음식이 시린 이에 닿지 않게 고개를 이리저리 기울이며 식사를 한다. 치통이나 질병의 정도가 점차 심해지면 음식을 바라만 보고 식사를 하지 못한다. 심지어 물도 마시지 못한다. 잇몸 통증으로 얼굴 부근을 만지는 것을 싫어하거나 공격성을 띠며 입 주변 통증으로 입을 비비거나 긁는 행동 등을 보인다. 그루밍을 하지 않기도 하는데, 이로 인해 털이 푸석해지고 고양이에게 냄새가 나기도 한다. 고양이 치과 질환의 대표적인 케이스는 자
【코코타임즈】 고양이는 깔끔한 동물이지만, 고린내가 난다면 귀 또는 입속 건강에 문제가 생겼을 확률이 높다. 특히 귓병을 앓는 고양이는 만졌을 때 평소보다 더욱 예민하게 굴거나 울부짖는다. 고양이에게 있어 귀는 예민한 기관이기 때문에 만지는 것을 쉽게 허락할 리 없지만, 찬찬히 살펴본다. 귀에서 냄새가 나는 원인은 말라세지아나 기타 세균 및 곰팡이 감염, 귀지 과분비, 귀 내 종양, 쿠싱 질환 등으로 외이도의 공기 흐름이 원활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말라세지아는 피부 각질층에 기생하는 균을 말한다. 이 외에도 여러 세균이나 곰팡이에 감염되면 외이도염이 생겨 귀에서 냄새가 난다. 고양이 귓병의 상당수를 차지하는 이 외이도염은 귓바퀴부터 고막까지의 길에 염증이 생겼다는 얘기다. 외이염은 제대로 치료하지 않으면 쉽게 중이염으로 악화된다. 외이염과 중이염은 증상이 비슷하다. 염증 때문에 악취가 나는 것이 가장 특징적이다. 귀가 붓고 귀 부근이 붉게 변해 있다. 가려움 때문에 머리를 턴다. 귀 뒤를 심하게 긁어 탈모가 생길 수도 있다. 통증이 심해 무기력한 모습을 보인다. 특히 중이염은 청각과 평형감각을 담당하는 내이에도 염증을 불러와 균형감각이 저하되기도 한다. 머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