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코타임즈】 티끌, 먼지 또는 샴푸 등이 눈에 들어가면 눈을 비비고 문지르는데, 각막(안구의 앞부분을 덮고 있는 투명한 막)에 염증이 생겨 일어나는 질환.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경우도, 주변 사물에 의한 외상이 원인인 경우도 있다. [증상] 먼저, 햇살에 눈이 부신듯한 표정을 짓는다. 가려움과 통증 때문에 눈을 문지르거나 얼굴을 바닥에 비비는 증상도 보인다. 이로 인해 눈 주변이 짓무르면서 지저분해 지는데 이 때 증상이 심해지면 결막의 출혈과 종창(염증이나 종기의 원인으로 피부가 부어오름)이 발생한다. 각막 혼탁현상과 신생혈관(새로 생겨난 혈관)이 나타날 수도 있다. 각막염이 오래 진행되면 각막궤양과 녹내장, 홍채염으로 악화된다. [원인] 외상성과 비외상성으로 나뉜다. 외상성은 다른 개나 동물과의 싸움으로 각막에 상처가 생겨 발생하는 것. 샴푸 같은 화학적 자극이나 먼지, 티끌, 눈썹 같은 물리적 자극에 앞발로 비비는 과정에서 일어난다.세균이나 바이러스가 침투해 염증이 생기는 것. 비외상성은 '면역 질환'이나 '알레르기 질환' 같은 각종 질병과 '개 전염성 간염'과 '개 디스템퍼' 같은 감염이 원인이 되는 경우다. [치료] 먼저 각막염 원인이 되는 이물질을
【코코타임즈】 세균이나 곰팡이 등의 감염이나 요도에 결석이 생기는 등으로 방광 점막이 손상되어 발생한다. 고양이 소변은 기본적으로 농도가 높기 때문에 방광에 세균이 번식하기 어렵다. 그래서 사람이나 개에 비해 세균성 방광염은 다행히 그리 많지 않다. [증상] 화장실에 가는 횟수가 증가한다. 배뇨 자세를 취하지만 소변이 잘 나오지 않고, 신음하기도 한다. 피가 나오는 혈뇨를 본다. 증상이 심해지면 허리와 배 근처를 만지면 아파한다. [원인] 세균 · 곰팡이 감염으로 대부분 발생한다. 또 방광에서 소변 결정과 소변 결석에 의해 방광 점막이 손상되어 일어나기도 한다. 드물긴 하지만 기생충으로 인해 발생할 수도 있다. 감염이나 소변 결정이 없는데도 일어나는 간질성 방광염(특발성 방광염)도 있다. 이 증세는 비교적 젊은 고양이에게서 볼 수 있고, 자연 치유와 재발을 반복한다. 원인은 아직 알려져 있지 않다. 출처 : 클립아트코리아 [치료] 세균이나 곰팡이 등 감염이 원인인 경우는 항생제와 항진균제를 놓는다. 소변 결정과 소변 결석이 원인이라면 수술로 원인 물질을 제거한다. 배설을 촉진하기 위해 방광 세척을 실시할 수도 있다. 하지만
【코코타임즈】 파보 바이러스(CPV, Canine ParvoVirus)에 개가 감염되면 심한 설사와 구토를 유발하는 장염 증세를 보인다. 그래서 항체가 없는 개, 면역력이 약한 어린 강아지, 노령견에게서 주로 발견된다. 전염성이 강하고 치사율 또한 높아 예방 접종을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증상] 4-7일 정도의 잠복 기간 후, 설사(혈변을 볼 수 있음), 구토, 식욕 부진, 체중 감소, 발열, 탈수 등의 증상을 보인다. 설사와 탈수가 심하면 하루 이틀 내에 쇼크로 사망할 수 있다. 임신한 암컷이 감염되면 유산할 수 있다. 심근염이나 패혈증으로 급사하기도 한다. [원인] 파보 바이러스에 감염된 개의 배설물을 입으로 접촉했을 때 감염된다. 혹은 배설물이 입에 닿지 않더라도 발 등에 묻어서 결과적으로 입에 닿으면 몸 속으로 침입해 빠른 속도로 증식한다. 병원균이 체외에서 6개월 이상 견디기 때문에 감염의 위험성이 높은 편이다. 출처 : Designed by Freepik Background photo created by freepik - www.freepik.com [치료] 파보 바이러스를 완전히 치료할 방
【코코타임즈】 백내장은 눈의 렌즈 역할을 하는 수정체가 혼탁해져서 사물이 뿌옇게 보이는 현상을 말한다. 고양이는 다행히 사람이나 개에 비해 백내장에 걸릴 확률이 적다. 백내장이 걸리면 육안으로는 절반 이상 진행 됐을 때에야 알아 차리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증상] 눈의 안구가 하얗게 흐려지는 경우와 동공이 흐려지는 경우를 구분해야 한다. 전체 부위인 안구가 흐려지면 각막손상이나 세균감염을 의심하고 후자는 백내장이나 안압이 높아지는 녹내장을 의심할 수 있다. 양쪽 눈 모두가 백내장에 걸린 경우 앞이 잘 보이지 않기 때문에 고양이의 행동 반경이 좁아져 벽을 타고 걷는 경우(벽에 붙어서 이동)가 많다. 놀라거나 흥분하면 갑자기 달리는 등 돌발행동을 하면서 사물에 부딪치고 넘어지는 경우가 발생한다. 다른 질병 증세처럼 백내장의 경우도 어두운 구석에 웅크리고 앉아 있는 경우가 많아진다. 한쪽 눈만 증상이 있을 경우는 행동에 큰 변화가 없다.백내장으로 진행되기 전에 눈이 붉게 충혈되고 눈곱이 생기며 식욕부진과 열, 구토 등의 증상이 동반되기도 한다. [원인] 페르시안, 히말라얀, 버만은 선천성 백내장을 앓을 수 있다. 후천성
【코코타임즈】 고양이가 6살이 넘으면 치과질환에 더욱 신경 써야 한다. 치과질환이 있으면 불편함과 통증을 일으킨다. 잇몸은 혈관이 발달해 있어 세균감염의 위험도 있다. 고양이의 4대 치과 질환으로는 치주질환 치아 흡수성 병변 치아골절 만성 구내염 이 있다. 6살 이상 고양이 중 치주질환을 겪는 케이스는 약 85% 정도다. [증상] 염증과 세균이 치아 주위 조직을 파괴한다. 초기에는 치아 주변에 치석이 쌓이고 잇몸이 붉게 부으며 구취가 난다. 점차 악화되며 치석이 많아진다. 잇몸에서 피가 나고, 구취가 심해지기도 한다. 치아와 잇몸 사이가 벌어지고 치아 주변 뼈가 약해지는데, 이는 치아 구조 변형에 영향을 끼친다. 치아가 빠지기도 한다. 전신감염으로 진행되기도 하는데, 증식한 구강 세균이 잇몸 혈관을 타고 혈액으로 유입된다. 세균이 전신으로 감염되는데, 특히 심장, 신장 등 중요 장기를 감염시키면 생명에 지장을 줄 수도 있다. [원인] 구내에 있는 세균이 타액의 단백질에 반응해 치태를 만든다. 치태는 플라크라고도 한다. 치아표면에 투명한 치태는 치아 사이사이, 치아와 잇몸 사이에 축적돼 염증을 유발
【코코타임즈】 당뇨병은 췌장에서 분비되는 인슐린이 부족하거나 어떤 이유에 의해 그 작용이 저해되어 세포에 필수적인 에너지 원인 당분(포도당)을 세포 내로 가져올 수 없어 혈액 내 당의 농도가 높아지는 질병으로 다양한 합병증이 따라온다. 당뇨병은 크게 인슐린 분비가 줄어들거나 없어지는 인슐린 의존성 당뇨병과 인슐린에 대한 저항성이 생겨 인슐린을 잘 활용하지 못하는 인슐린 비의존성 당뇨병이 있다. 고양이 당뇨병은 주로 인슐린 비의존성 당뇨병(제2형 당뇨병)이다. [증상] 5살 이상의 중성화된 수컷 고양이에게서 많이 발병한다. 많이 먹는데 체중이 늘지 않고 소변을 자주 본다면 의심해야 한다. 털도 푸석해진다. 몸이 영양분을 잘 활용하지 못해 식욕이 늘어 많이 먹는데 체중은 늘지 않는다. 물을 많이 마시고 소변의 양이 상당히 증가한다. 당뇨병이 진행되면 신경계에 이상이 생겨 발뒤꿈치를 바닥에 붙이고 걷거나 걸음걸이가 이상해진다. 또한 다양한 감염증에 걸리기 쉬워, 세균성 방광염이나 피부염을 동반하는 경우도 많다. 당뇨병이 더 진행되면 체중이 줄고, 식욕도 저하된다. 또한 대사 이상으로 체액이 산성을 띠는 케토 산증 상태가 된다. 구토나 설사를 하거나 의식 장애를 일
【코코타임즈】 급성위염(Gastritis)은 상하거나 부패한 음식, 또는 이물질을 먹어 위 점막에 염증이 생기며 일어난다. 개의 소화기 질환으로는 가장 흔하다. [증상] 가장 흔한 건 식욕 감소와 갑작스런 구토다. 반복적인 구토로 심한 복통과 탈수 현상이 일어날 수 있고, 토사물에 혈액이 섞여 나오기도 한다. 무기력과 우울증이 동반하기도 하지만, 대부분 이틀 내에 자연스레 낫는다. 다만, 배가 갑자기 부풀어 오르는 증상을 동반하면 위확장 등의 응급상황일 수 있으니 바로 병원에 데려가야 한다. [원인] 잘못된 먹이에 의한 원인이 대부분. 농약이나 화학 물질이 남아 있는 플라스틱, 비닐, 나무나 뼈의 조각 등을 핥아도 발병할 수 있다. 너무 급하게 먹거나 이물질을 삼켜서 생기기도 한다. 간혹 음식물 알레르기나 감염증, 심지어 스트레스가 심할 때 발생하기도 한다. [치료] 대부분 특별한 치료 없이도 개선된다. 하지만 수액 치료와 제산제 등이 빠른 회복에 도움을 준다. 최소 24시간 정도는 금식을 시켜주는 것이 좋겠고, 그 이후 소화가 잘 되는 먹이를 소량 공급해 주며 2~3일간 조금씩 양을 늘려주는 방식을 추천한다. 만일,
【코코타임즈】 사람의 코끝에서 보이는 검은 피지보다 좀 더 큰 까만 점이 고양이 턱에서 보인다. 초기에는 여드름처럼 피지 분비가 많아져 생기는 단순한 피부 트러블이지만 점차 가려워서 긁다 보면 딱지가 앉는다. 더 심해지면 붓고 피가 날 정도로 빨갛게 올라와 2차 감염으로 염증이 생긴다. [증상] 고양이 턱 밑과 아래 입술 주변에 후춧가루 같은 '블랙 헤드'(검은 점)가 보인다. 모낭과 각질에 피지가 고인 것. 각질에 피지가 쌓이면 검게 보이고, 모낭에 피지가 쌓이면 피부가 살짝 솟아 오른 듯 보인다. 처음에는 검은 부스럼처럼 보여 신경을 쓰지 않지만 고양이는 가렵기 때문에 사람에게 스치거나 하면서 비비는 일이 많아진다. 결과적으로 상처가 생겨 2차 감염, 즉 진균이나 세균 감염으로 이어지면 붉게 부풀어 오르고 염증이 생긴다. [원인] 사람 여드름도 정확한 원인을 모르는 것처럼 고양이 여드름도 복합적이다. 스트레스와 그루밍을 할 수 없는 위치, 호르몬, 지나치게 활성화 된 피지선(기름기 과다 분비), 아토피, 그리고 음식 등을 원인으로 꼽는다. 통상 2~4세 고양이에게서 많이 나타난다. [치료] 정확하게 고양이 여드름 증상인지 확인하기 위해선 병원을 찾아야
【코코타임즈】 대장 소장 같은 장 운동이 심하게 일어나면, 장이 말려들어 갈 수 있다. 이 증상을 '장 중첩'(Intussusception)이라 한다. 면역체계가 약한 개에게서 잘 일어난다. 특히 1년 혹은 그 미만의 강아지에게서 더 잘 발생한다. 장 중첩이 일어나면, 빠르게 진행되므로 바로 응급수술에 들어가야 한다. [증상] 호흡 곤란, 구토, 피 섞인 구토, 복통, 복부 팽창, 혈변이 있다. 또 식욕 부진이나 체중 감량에다 배변을 할 때 무척 힘들어 한다. [원인] 가장 일반적인 원인은 새끼 강아지가 심하게 설사를 한 경우, 최근 복부 수술을 했던 경우다. 또 신경성, 장내 기생충 감염, 파보 바이러스 감염, 이물질 섭취, 종양, 과식 혹은 과음 등이 있다. [치료] 장 중첩이 진행되면 장이 빠르게 말려들어 가므로, 즉시 수술해야 한다. 장 중첩이 발생한 부위가 딱딱하게 만져지므로 신체 검사를 통해 다른 부위의 이상은 없는지 확인한다. 설사와 탈수로 인한 전해질 불균형과 몸의 이상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혈액검사를 하고, X-ray 검사와 초음파 검사를 통해 중첩된 장의 상태를 진단한다. 전해질 불균형을 해소하기 위해 정맥 내 수액을 추가하여 전해질 균형을
【코코타임즈】 특별한 신체적 이상 없이 심리적 요인으로 탈모가 발생하고 피부염으로 연결되는 것을 '고양이 심인성 탈모와 피부병'(Feline Psychogenic Alopecia and Dermatitis)이라 한다. 일종의 '마음의 병'인 셈이다. 심한 스트레스를 받았을 때 지속적으로 같은 부위를 핥게 되는 것인데, 아주 작은 상처였거나 아무 이상 없던 부위의 털이 빠지고 실제로 감염이 돼버리는 경우가 발생하는 것. [증상] 일상적인 그루밍 수준을 넘어, 온몸 이곳저곳을 지속적으로 핥는 모습이 관찰된다. 그로 인한 탈모와 염증이 나타나는데, 계속 방치할 경우 2차 감염과 피부염으로 이어진다. 집중적으로 핥던 부위의 피부가 패이고, 심지어 괴사할 수도 있다. 간혹 항문낭같이 고양이 눈에 보이지 않는 부위에 이상이 발생했을 경우 핥는 정도가 심해질 수 있다. [원인] 심인성 탈모는 고양이의 심리적 불안이나 심한 스트레스가 원인이 되므로 화장실 위치가 바뀌었다거나 새로운 반려동물이 들어왔다거나 낯선 환경으로의 이사 등 급격히 바뀐 환경이 있는지 살펴보는 것이 좋겠다. 보호자가 큰소리로 꾸중을 한다거나 주변의 갑작스러운 소음에 놀라 스트레스가 발생해 나타날 수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