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코타임즈】 바베시아라는 원충이 진드기를 매개로 체내에 침투해 생기는 질병이다. 대표적인 증상으로는 빈혈이 있다. 증상이 심한 경우에는 생명에 지장이 있다. [증상] 바베시아 원충이 숙주의 적혈구 내에서 기생하며 점차 분열과 증식을 일으키고, 결국 적혈구를 파괴한다. 빈혈, 40℃ 이상의 발열, 무력감, 우울증, 고열, 혈뇨, 황달, 식욕부진, 체중감소, 복부팽창 등의 증상이 있다. 빈혈의 경우, 호흡이 얕고 빨라진다. 또한, 운동 후 쉽게 피로해지고 혀와 잇몸 등 입안 색이 창백해진다. 빈혈이 심하면 신장이나 간에 기능장애가 생겨 생명에 지장이 올 수 있다. [원인] 야외활동이나 청결하지 못한 외부환경에 노출 등의 이유로 참진드기에 물려 감염된다. 바베시아증에 걸린 개에게 수혈을 받거나, 그 개에게 사용한 주삿바늘이나 기타 의료용 도구 때문에 감염될 수 있다. 바베시아 원충을 지닌 어미 개에서 태어난 강아지도 감염된다. [치료] 빈혈을 치료하기 위해 수혈해야 한다. 베베시아 원충을 완전히 죽이는 약은 없으므로 항균제 및 항생제를 투여해 증식억제 및 증상을 완화한다.26 치료하는 도중이거나 상태가 호전되더라도
【코코타임즈】 고양이 비대성 심근증(Hypertrophic Cardiomyopathy)은 심근(심장 근육)이 두껍고 좁아 지면서 몸 전체에 보내는 혈액이 감소하여 순환 장애에 빠지게 되는 질병이다. 고양이 비대성 심근증은 고양이 심장질환의 20~30%에 해당하는 다소 흔한 질병이며 주로 랙돌이나 메인쿤, 노르웨이숲 같이 큰 고양이에게 주로 발견된다. [증상] 고양이 비대성 심근증은 간혹 호흡 곤란을 보이다 돌연사하거나 다른 질환으로 병원에 갔다가 우연히 발견하는 경우가 대부분일 만큼 초기의 증상 발견이 어렵다. 어느 정도 병이 진행되면 녹초가 되어 웅크리고 있는 경우가 잦아지고 조금만 움직여도 숨이 차기 때문에 장난치거나 움직이는 것을 싫어하게 된다. 폐수종 유출에 의한 기침과 호흡 곤란의 증상을 보이기도 하며 대동맥의 순환장애로 급성 후지 마비가 올 수 도 있다. 식욕부진, 구토, 후지 파행(뒷다리 보행장애), 기면(lethargy)증상과 호흡 곤란 등이 관찰되면 비대성 심근증을 의심하고 대처해 주는 것이 좋겠다. [원인] 고양이 비대성 심근증은 원인이 알려지지 않은 특발성이거나 유전적 요인의 선천성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코코타임즈】 개 전염성 간염(Infectious Canine Hepatitis)은 '개아데노바이러스'로 인해 발생하는 질병이다. 예방 접종을 하지 않은 대부분의 개가 이 바이러스에 노출 될 수 있으며 증상이 심한 경우 생명을 잃을 수도 있다. 다른 가축과 야생동물 등에 전염성이 매우 높은 질병이다. [증상] 심하지 않은 경우 거의 알아 차리지 못할 만큼 가벼운 발열과 콧물 정도로 지나칠 수도 있다. 하지만 정도가 심한 경우에는 40˚C 전후의 고열이 발생되며 편도염과 식욕부진 증상이 나타난다. 경련이나 발작 등의 신경 증상, 코피나 하혈 등이 동반 되는 출혈 경향(bleeding tendency)이 발생 되기도 한다. 이 경우에는 뇌염이 생길 수도 있는데 특히 백신 접종을 하지 않은 강아지가 감염 됐을 때 사망에 까지 이르는 사례가 보고되었다. 육안으로 관찰할 수 있는 가장 흔한 증상은 눈이 붓는 각막 부종(blue eye)이다. 회복기에 포도막염(Uveitis) 증상이 보일 수 있으며 이는 회복 단계의 자연스러운 현상이지만 심할 경우 녹내장이나 각막 궤양으로 진행될 수 있다. [원인] '개 아데노 바이러스'로 인해 발생 되는
【코코타임즈】 각막은 안구 제일 바깥쪽에 위치해 이물질이나 외상에 노출되기 쉽다. 각막염은 이 부위에 곰팡이나 세균 등의 외부 이물질이 각막을 자극하거나 외상으로 각막 표면에 염증이 생기는 안과 질환을 말한다. 증상이 심해지면 각막분리(각막 표면 중 일부분이 떨어져 나간 증상), 각막궤양(각막 일부가 패인 증상), 각막천공(각막에 구멍이 생긴 증상)이 생기거나 시력에 장애가 온다. 대개 4~6세 고양이에게서 많이 발생하며, 스코티쉬 폴드, 페르시안 등 코가 짧고 납작한 종은 각막에 상처가 생기기 쉽다. [증상] 일반적으로 각막염을 앓는 고양이라면 눈을 아파한다. 평소보다 눈물양과 눈곱이 많아지고 눈이 빨개진다. 정면에서 고양이 눈을 봤을 때, 표면 일부가 검정, 고동, 갈색 등으로 보이기도 한다. 눈 표면에 치즈 같은 물질이 발견된다. 호산구성 각막염이라면 대부분 통증은 없으며, 종종 눈꺼풀의 경련이나 체리 아이(제3안검이 돌출된 증상)를 볼 수 있다. 심하면 시력을 잃기도 한다. 출처 : Designed by freepic.diller / Freepik Background photo crea
【코코타임즈】 고관절 이형성증(Hip Dysplasia)은 골반과 뒷다리 뼈인 대퇴골을 이어주는 고관절에 변형이 생긴 것. 고관절이 비정상적으로 발달해 걸음걸이에도 영향을 주는 질환이다. 소형견보다는 대형견이 걸리기 쉽다. 골든 레트리버(Golden Retriever), 라브라도 레트리버(Labrador Retriever), 저먼 세퍼드(German Shepherd), 세인트 버나드(Saint Bernard)등이 이에 속한다. 관절염을 앓고 있다면 더욱 발생할 확률이 높다. [증상] 빠르면 생후 4개월 무렵부터 증상이 나타난다. 보행 시 뒷다리에 힘을 주지 못해 허리가 흔들리거나 뒷다리를 절기도 하고 걷지 못하는 경우도 종종 있다. 뒷다리 움직임이 부자연스럽고 뒷다리 사이 폭이 좁은 자세로 걷는다. 다리가 불편해 움직임이 줄어들고 걷지 않으려 한다. 앉고 일어설 때 통증을 호소하거나 힘들어한다. 이상이 생긴 다리의 골반 근육량이 감소한다. [원인] 고관절이 정상적인 위치에 있지 않거나 고관절 부근에 이상이 생겨 발생한다. 유전적 요인과 강도 높은 운동, 노견의 퇴행성 관절염, 칼슘과 단백질 과잉 섭취와 급격한 체중 증가
【코코타임즈】 고양이 장중첩(Intussusception)은 흔한 질병은 아니지만 일단 발생하면 생명에 위협을 주는 무서운 질환이다. 대부분의 나이에서 발생할 수 있지만 어린 고양이에게 가능성이 더 높다. 다양한 원인에 의해서 장운동이 비정상적으로 움직이며 장의 일부가 말려 들어가게 되는 증상이 관찰되는데 장중첩은 한 번 시작되면 급속히 진행되므로 발견 즉시 빠른 수술로 교정해 줘야 한다. [증상] 식욕 감소와 구토, 복통, 혈변, 설사, 탈수증 등이 관찰된다. 배 부위를 만지면 근육이 굳은 듯 딱딱한 느낌이며 고양이가 많이 아파한다. 증상이 심할 경우 쇼크를 일으키기도 하고 심지어 생명을 잃을 수도 있다. 출처 : Designed by paymphotography / Freepik Love photo created by paymphotography - www.freepik.com [원인] 고양이 장중첩에는 여러 가지 발생 요인이 존재하는데 이 중 70~80% 정도가 어린 고양이에게서 발생하며 기생충 감염에 의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바이러스성이나 세균성 장염 증상이 심하게 나타나도 장중첩에 걸릴 수 있다. 이 밖에도 고양이가
【코코타임즈】 고양이 전염성 복막염이란 고양이 코로나바이러스(Feline Corona virus)에 감염돼 생기는 질병을 말한다. 전염성 복막염은 흉부와 복부에 물이 차는 삼출 형(습식)과 복막염과 신경 증상, 안구 증상을 동반하는 비삼출 형(건식)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고양이 전염성 복막염 바이러스에 감염되어도 발병하지 않을 수 있지만 일단 발병하면 완치가 어렵고 증상이 심해지면 사망에까지 이르는 무서운 질병이다. [증상] 고양이 전염성 복막염이 발병하면 식욕 저하와 발열, 구토, 설사 증상이 나타나고 그로 인한 체중 감소가 이어진다. 삼출형 복막염의 경우 위의 증상 외에도 복수와 흉수로 인해 배 주위가 볼록하게 부풀어 오르며 호흡 곤란을 겪게 된다. 비삼출형 복막염은 삼출형과 같은 발열, 구토, 설사, 식욕 부진 외에 뇌와 척수에 염증이 생기고 마비와 경련 등의 행동 이상이 나타나는 신경 증상이 관찰된다. 그 외에도 포도막염과 망막 염증 등이 동반되면 실명에까지 이를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삼출형 복막염의 발생 확률이 더 높으며 삼출 형과 비삼출 형 모두 증상이 심해지면 발병 몇 개월 안에 사망할 수 있다. [원인
【코코타임즈】 개가 구토 증상을 보였을 경우 많은 양의 음식을 급하게 섭취 했을 수가 있다. 그 외 여러 방향의 원인이 있을 수 있으므로 토사물의 색이라던지 점액질 등을 유심히 살펴 봐야 할 것이다. 구토 증상이 장시간 지속 된다면 반드시 수의사에게 보이고 정확한 원인을 알고 대처 해줘야겠다. [증상] 구토가 지속되면 설사, 탈수, 무기력, 체중감소, 배뇨증감 등이 동반 될 수 있다. [원인] 구토의 원인은 너무도 다양해서 가능한 수의사에게 보이고 그에 맞는 치료를 해 주는것이 가장 안전하다. 쉽게 의심할 수 있는 증상은 과식, 상한 음식 섭취, 오염된 식수, 욕조 독극물 섭취 등을 생각할 수 있으며 작은 장난감, 양말 등을 갖고 놀다 삼켜서 괴로워하는 경우도 있다. 바이러스에 의한 감염, 장내 기생충, 열사병, 소화기관의 세균성 감염, 독성물질이 든 먹이섭취, 췌장염, 멀미나 간질환 등도 구토의 원인이다. [치료] 토사물이 노란색일 때에는 위가 비어 있는 경우이니 먹이를 주면 대부분 해결이 된다. 다른 질병과의 개연성으로 인한 구토나 원인은 수의사를 통한 정확한 진단을 받아야 한다. 경우에 따라 수액을 투여 할
【코코타임즈】 부신은 신장 바로 앞쪽에 있는 기관이다. 부신에서 생성하는 Glucocorticoid와Mineralocorticoid 라는 두 호르몬은 신체의 모든 세포 활동에 필수적 역할을 하고 있는데 이 호르몬의 분비가 결핍되면 부신 피질 기능 저하증이 발병 되는 것이다. 부신피질 기능저하증은 개에게는 흔하나 고양이에게는(그 중, 샴 고양이의 발병 확률 높음) 거의 나타나지 않는 질병이다. 애디슨(Addison's Diseae) 병이라고도 부른다. [증상] 부신피질 기능저하증에 걸리게 되면 간헐적 구토와 식욕부진, 체중감소, 설사와 혈변 등의 위장관계 증상이 특징적으로 나타난다. 또한, 심한 우울증과 확연한 근 쇠약, 약한 맥박, 서맥(Bradycardia), 우울증 등이 관찰되며 배를 만지면 아파하기도 한다. 심한 경우 갑작스러운 호흡곤란이나 쇼크 증상을 보일 수도 있다. [원인] 부신피질 기능저하증은 부신의 호르몬을 생성하는 세포의 오작동에 의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부신의 면역 시스템은 체내에 침투한 세균과 바이러스를 죽이고 방어하는 역할을 해야 하는데 면역 세포에 이상이 생겨 정상적인 조직까지 파괴하며 발생하는 것이다. 출처 : 클립아트코리아 [치
【코코타임즈】 톡소플라즈마증(톡소플라스마, 톡소포자충증)은 사람을 포함한 포유동물과 조류로 흔히 감염되는 인수공통 질병이다. 톡소포자충의 최종 숙주는 고양잇과 동물이다. 톡소포자충(Toxoplasma gondii)은 대표적인 세포내 기생충의 하나로 유럽, 북미 등에서 특히 유행한다. 우리나라 혈청검사에서 2%-8%의 국민이 항체 양성으로 보고되고 있다. 10세 이하 서울대 병원에 입원한 환자 대상 조사에서도 8.5%의 양성률이 보고됐다. 임신한 여성에게 옮을 경우 태아와 산모에게 치명적인 결함을 안겨준다. 임신 제2기 또는 제3분기에 톡소포자충에 감염됐을 때 태반을 통해 태아가 감염되고 태아는 선천성 톡소포자충증을 일으킨다. 주요 증상은 뇌수종(hydrocephalus), 망막맥락막염(retinochoroiditis), 경련(convulsion), 뇌석회화(cerebral calcification), 정신운동지연(psychomotor retardation) 등이다. 때로는 신생아 시기에 무증상이다가 수년 후 중추 신경계 침범의 합병증이 나타나기도 한다. 일부 임산부의 경우 사산, 조산 혹은 유산이 된다. 하지만 가정 내에서 키우거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