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코타임즈(COCOTimes)】 위 종양(stomach tumor)이란 위를 구성하는 세포가 비정상적으로 빠르게 늘어나는 질환. 그 중에서도 위암(stomach cancer)이란 이런 위 종양이 악성, 즉 빠르게 성장하고 다른 장기로 전이될 가능성이 높은 질환이다. 개와 고양이에서 흔한 암은 아니지만 발병하면 보호자도 반려동물도 상당히 힘들다. 위암은 주로 상당히 진행될 때까지 증상이 안 나타나서 더 심각한 문제를 초래하곤 한다. 주로 나이 많은 반려동물에게서 잘 나타난다. [증상] 가장 흔한 증상은 구토다. 이때 피가 섞여 나오거나 커피 찌꺼기 같은 것들이 나올 수 있다. 대변이 검은색을 띠는 것도 위에 암으로 인한 궤양이 생겼다는 신호일 수 있다. 이런 증상은 몇 주에서 몇 달 동안 천천히 나타난다. 그 외에도 침을 많이 흘리거나 활동이 줄어들며, 식욕과 체중이 감소하는 등의 증상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통증으로 인해 배를 만지는 것을 싫어하는 모습도 흔히 보인다. [원인] 암이 발생하는 이유는 단순하지 않다. 대부분의 암은 여러 가지 위험 요소들이 겹쳐서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일부 요소들은 환경적 요소들이며, 일부는 유전적이다. 위암의 경우 나이,
【코코타임즈(COCOTimes)】 강아지 고양이가 평소보다 묽은 변을 자주 보거나 설사를 하고 있다면 몸 어딘가에 이상이 있다는 신호다. 특히 설사는 원인이 워낙 다양해 치료법을 찾기 위해선 원인 파악이 먼저다. 대개는 음식을 잘못 먹었거나, 세균이나 기생충에 감염된 것이 대부분. 소장과 대장 중 어디에서 기인했는지에 따라 치료법도 달라진다. 분변검사를 통해 원인을 잡아낼 수 있다. 하지만 만성 설사인 경우엔 일반 분변검사나 초음파, 방사선, 혈액검사로도 원인을 밝힐 수 없는 경우들이 있고, 그럴 땐 '분변 PCR검사'를 추천한다. 강아지에 비해 고양이는 조금 더 복잡하다. 과식·폭식에 의해 설사를 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하루정도 물만 주며 금식 시키면 자연스럽게 돌아오는 경우가 많다. 다만, 어린 고양이의 금식은 저혈당 증상을 일으킬 수 있으니 주의가 필요하다. 사료·간식 등 음식 알레르기에 의해 설사를 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몇 가지 사료를 먹여 보고 답을 찾아내야 한다. 고양이는 우유를 소화하는 효소가 없거나 적기 때문에 우유를 주면 얼마 지나지 않아 바로 설사를 보이게 된다. 스트레스를 심하게 받는 것도 설사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이 경우
【코코타임즈】 동물병원 가는 날은 왠지 마음이 두근두근해진다. 우리 아이 스트레스 받는 일 없이 조심조심 모시고 가는 것부터 진료 받고 돌아올 때까지 신경을 바짝 써야 하니 말이다. 사람과 마찬가지로 병원 가는 걸 좋아하는 동물은 없다. 그래도 별탈 없이 다녀오려면 보호자도 그에 맞는 준비가 필요하다. 그래서 지난주 "【일본통신】(36)일본 펫팸족의 ‘단골병원’ 찾는 법"에 이어 이번 주엔 병원에 가기 전에 보호자가 미리 준비해야 할 것들, 그리고 동물병원 수의사과의 진료 상담에 필요한 내용들을 정리해본다. 이 역시 일본의 펫보험사 ‘아니콤’(アニコム)이 고객들의 고민 해결을 돕기 위해 조언한 “절대 빠져서는 안 될 질문 내용” 등을 참고했다. 동물병원 진료 전 특히 신경 써두면 좋은 것들 동물병원 데려갈 땐 가능하면 주(主)보호자가 함께 가는 게 좋다. 평소 생활 환경,식사, 배설 상태, 언제부터 상태가 나빠졌나, 보통 때와 다른 점은 무엇인가 등 수의사들이 항상 묻는 질문들에 제대로 대답해줄 수 있는 보호자가 함께 가는 게 이상적이기 때문. 이때 진단에 도움이 될 것들을 챙겨가면 더 좋다. 동물은 스스로 자신의 상태를 말로 전달할 수 없으니, 메모나 토사
【코코타임즈】 고양이는 웬만큼 아파도 티를 내지 않는다. 대신, 컨디션이 저하되면 미묘한 변화가 하나둘 생긴다. 대표적인 변화 중 하나는 평소와 달리 제대로 그루밍 하지 못한다는 점이다. 이때는 특정 질환을 의심하기보다 모든 질병에 대한 경우의 수를 열어두고 고양이 몸을 살펴야 한다. 그루밍은 고양이의 대표적인 습성 중 하나로, 자신의 몸을 핥아 죽은 털이나 이물질, 냄새를 제거하는 행위다. 고양이는 그루밍을 하며 심리적 안정감을 느끼기도 한다 만약 그루밍 횟수가 줄어듦과 동시에 앞발로 얼굴을 비비며 불편함을 호소한다면 구강질환을 의심해볼 수 있는데, 대부분은 통증으로 인해 얼굴 만지는 것을 꺼려한다. 전신성 질환이나 관절질환도 그루밍을 하지 않는 원인 중 하나다. 특히 스코티쉬 폴드는 유전적으로 뼈 연골 형성장애라는 관절질환을 앓는 일이 많다. 꼬리가 두껍고 뻣뻣해지며, 보행에 이상이 오는 관절질환이므로 고양이의 외관상 문제는 없는지 유심히 살펴봐야 한다. 나이가 많아도 유연성이나 운동성이 떨어져 그루밍을 제대로 하지 못한다. 혹은 외관상 문제가 없더라도 내과적 문제가 생겼을 수도 있기 때문에 고양이가 그루밍을 원활하게 하지 못한다면 병원을 찾아보는 것이
【코코타임즈】 피부암(skin cancer)은 림프종(lymphoma)에 이어 고양이에서 두 번째로 흔한 암이다. 그중에서도 기저세포종(basal cell tumor), 비만세포종(mast cell cancer) 등이 가장 많다. 섬유육종(fibrosarcoma), 편평세포암종(squamous cell carcinoma) 등도 많이 걸린다. [증상] 피부암은 종류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 피부암과 염증성 질환을 구분하기란 어려울 수 있다. 또한 양성 종양과 악성 종양을 구분하는 것은 특화된 지식과 장비가 필요하다. 대개는 털이 빠진 부위, 변색된 부위에서 발견할 수 있다. 피부암은 주로 피부에 있는 작은 덩어리, 발진이나 궤양 등의 형태로 나타난다. 그중에서도 기저세포종은 덩어리에 궤양이 생기거나 줄기처럼 뻗기도 한다. 고양이에서는 색소가 침착되어 변색되기도 한다. 비만세포종은 주로 머리와 목 주변, 또는 귀에서 발견된다. 비만세포는 알레르기 반응과 연관이 있는 히스타민을 분비한다. 종양이 되면 비만세포는 히스타민을 한꺼번에 분비하여 붉게 부어오르고 하루 안에도 크기가 커졌다 작아졌다 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히스타민
【코코타임즈】 개와 고양이가 자기 자신을 긁고, 핥고, 무는 데는 다양한 이유가 있을 수 있다. 어쩌다 한번 긁는 것은 정상적이다. 하지만 긁는 행동이 지나치면 어딘가 불편하거나 지속적으로 가려워서 그런 것일 가능성이 크다. 강아지와 고양이가 몸을 긁게 하는 원인에는 무엇이 있을까? 알레르기 개나 고양이가 지나치게 몸을 긁을 때 흔한 원인은 알레르기다. 알레르기는 음식 또는 환경적 요인에 대해 몸의 면역체계가 과도하게 반응하는 것이다. 접촉성 피부염 외부 물질과의 접촉에 의하여 생기는 모든 피부염을 접촉성 피부염이라고 한다. 많은 개와 고양이는 특정 식물들에 대해 예민하며 피부에 닿으면 가려움증이 나타난다. 일부 잔디 품종도 가려움증을 유발할 수 있으니 잔디밭에서 놀고 난 후 가려움증이 생겼다면 이를 의심해볼 수 있다. 식물 외에도 살충제나 비누 등도 접촉성 피부염을 유발할 수 있다. 건성 피부 많은 요인들이 반려동물의 피부를 건조하게 할 수 있다. 겨울 날씨, 필수 지방산 부족 등이 이에 해당한다. 피부가 건조하면 불편해서 긁는 증상으로 이어질 수 있다. 호르몬 불균형 갑상선 기능 저하증이나 부신피질 기능 항진증 등이 있으면 피부 감염에 더 쉽게 노출된다.
【코코타임즈】 환절기가 되면 개, 고양이들은 털갈이를 한다. 이런 털 빠짐은 자연스러운 현상이다. 하지만 반들반들 윤기 나던 반려동물의 털이 언제부터인가 푸석해지고, 심지어 빠진 곳에 다시 나지 않는다면? 이런 탈모(alopecia)는 반려동물의 건강 이상을 의심해봐야 한다. 피부사상균증 진균(곰팡이균)에 감염되어 생기는 피부병이다. 면역력이 떨어지거나 진균 감염에 취약한 환경에 노출됐을 때, 혹은 이미 이 병을 가진 포유류와 접촉했을 때 곰팡이균이 피부나 발톱에 기생하며 염증을 유발한다. 비듬, 원형 탈모, 발진, 색소 침착, 가려움증 같은 증상을 보인다. 얼굴 주위나 귀, 등, 사지 등에 주로 생긴다. 드물게 발톱에 감염돼 발톱 기형으로 변질될 수도 있다. 사람에 옮았을 경우, 단순 알레르기가 아니라면 이 질병을 의심해볼 수 있다. 아토피피부염 아토피를 일으키는 원인 물질에 노출되었을 때 면역세포는 과도하게 반응해 가려움증을 일으킨다. 그 와중에 염증도 생긴다. 유전적인 원인이 많다. 꽃가루나 집먼지 진드기, 벼룩, 곰팡이, 음식물, 풀, 나무 등의 원인 물질에 몸의 면역 기능이 과도하게 반응하는 것이다. 피부 보습력이 떨어지는 것도 발병의 한 원인이다.
【코코타임즈】 반려동물의 잇몸은 건강에 대한 중요한 정보를 줄 수 있다. 양치할 때 등 평상시 잇몸 색을 확인해두면 색이 변했을 때 눈치채기 쉽다. 잇몸 색으로 알아볼 수 있는 건강 상태, 어떤 것들이 있을까? 파란색 잇몸 강아지 또는 고양이 잇몸이 파란색 또는 보라색으로 변한 경우는 응급 상황이며 빨리 동물병원에 데려가 봐야 한다. 청색증이라고 부르는 이 증상은 혈액 속 산소가 부족할 때 나타난다. 주로 폐렴이나 폐수종, 천식, 심장병 등의 질환으로 인해 호흡곤란 상태에 이르렀을 때 발생한다. 저혈압, 저체온증 등이 원인이 될 수 있다. 연분홍 또는 하얀 잇몸 잇몸이 창백해진 것이 관찰되면 빈혈, 내출혈, 혈액응고 등 혈액과 관련된 문제를 의심해볼 수 있다. 심장이나 신장 질환, 쇼크 상태, 중금속 노출, 저체온증도 잇몸을 창백하게 할 수 있다. 노란색 잇몸 황달(jaundice)은 간에서 해독작용을 거쳐 담즙으로 배설되어야 하는 황색의 담즙색소(빌리루빈)가 몸에 필요 이상으로 쌓여 눈의 흰자위나 피부, 점막 등이 노랗게 변하는 현상이다. 원인은 크게 세 가지. 적혈구가 과도하게 파괴될 때, 담즙 배출과정에 이상이 있을 때, 그리고 간 질환이 있을 때 등이
【코코타임즈】 평균 이상으로 눈물을 많이 흘리고, 흐르는 눈물로 인해 주위가 변색되고 냄새가 나게 되는 상태를 유루증(epiphora, 눈물흘림증)이라고 한다. 눈물 속에 있는 '포르피린'(porphyrin)이라는 성분은 공기에 장기간 노출되면 적갈색으로 변한다. 특히 밝은 색 털을 가진 개나 고양이에서는 눈물 흐른 자국이 적갈색으로 착색되기 때문에 보호자가 쉽게 눈치챌 수 있다. 눈물은 각막에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하고 이물질을 씻어내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눈에 꽃가루나 먼지 등이 들어가면 이를 씻어내기 위해 일시적으로 눈물 분비가 활발해질 수 있다. 눈물 증가가 심하지 않고 눈에 다른 증상이 없으며 반려동물이 불편해하지 않으면 하루 이틀 더 지켜봐도 괜찮다. 하지만 눈물흘림증이 지속된다면 원인을 찾아 치료해야 한다. 눈 주변이 젖어있는 상태로 방치되면 세균 감염에 쉽게 노출되며 결막염, 포도막염, 각막염 등의 안과 질환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만약에 충혈 또는 통증이 있거나 눈물 외의 분비물이 나온다면 동물병원에서 확인해보는 것이 좋다. 눈물은 원래 눈물샘에서 생성되어 눈의 표면을 적시고 상·하 누점(눈물점)으로 들어가 비루관(코눈물관)을 타고 코로
【코코타임즈】 개나 고양이의 귀에서 냄새가 난다면 이는 건강에 이상이 있다는 신호일 수 있다. 귀에서 냄새가 나게 할 수 있는 원인은 몇 가지가 있다. 가장 흔한 원인들은 어떤 것들이 있을까? 귀지 축적 귀지가 많이 쌓이면 냄새가 난다. 하지만 통증도, 다른 증상은 없다. 강아지도, 고양이도 전혀 불편해하지 않는다. 귀지는 노란색. 이 때는 반려동물용 귀 세정제를 사용해서 귀를 세척해 주기만 하면 된다. 진균 감염 진균 감염은 몸에 있는 캔디다(candida)라는 곰팡이가 과다 증식할 때를 말한다. 귀에 진균 감염이 일어나면 귀지만 있을 때보다 더 냄새가 난다. 귀가 붉어질 수 있으며 귀에서 갈색 분비물이 나온다. 진균감염이 의심되면 며칠 이내에 동물병원에 가보는 것이 좋다. 수의사는 귀에서 나오는 분비물을 검사하고 그에 알맞은 처방을 내릴 것이다. 동물병원에 가기 24시간 전부터는 귀 세척을 하지 않는 것이 권장된다. 세척을 하면 진단을 내리기 어려워질 수도 있어서다. 박테리아 감염 귀에 박테리아 감염이 일어나면 진균 감염 때보다 증상이 더 심하다. 박테리아의 종류에 따라 몇 미터 떨어진 곳에서도 맡을 수 있을 정도로 냄새가 많이 날 수 있다. 이런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