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15 (화)

  • 맑음동두천 2.1℃
  • 구름많음강릉 5.6℃
  • 맑음서울 4.2℃
  • 흐림대전 4.7℃
  • 흐림대구 5.5℃
  • 구름많음울산 4.5℃
  • 흐림광주 6.2℃
  • 구름조금부산 6.7℃
  • 흐림고창 5.5℃
  • 흐림제주 9.1℃
  • 맑음강화 5.2℃
  • 흐림보은 4.6℃
  • 흐림금산 4.6℃
  • 흐림강진군 7.0℃
  • 구름많음경주시 5.4℃
  • 구름조금거제 6.5℃
기상청 제공

시리즈/특집

반려동물 의료비 폭탄, 해결책 없나?

【코코타임즈】 반려동물 의료비 폭탄, 이 문제가 어제 오늘 일이 아니다.

하지만 해결될 기미는 전혀 없다.
 

특히 의료보험 제도가 정착한 사람의료와 달리, 동물은 '부르는 게 값'이다보니 더 큰 혼란이 있다.

건보 적용하면 10만원도 안되는 '탈장 수술' 한 번에 300만원이라니....

 

 

 

유기동물이 한 해 100만 마리 이상 발생하는 중요한 이유도 바로 여기에 있다.

사람들의 나쁜 인식 탓만은 아니라는 얘기.
 

현재 우리나라 반려동물은 약 1천만 마리.

그 중에 개와 고양이만 871만 마리다. 1마리 이상 키우는 집이 개는 450여만가구, 고양이는 110여만 가구.

그만큼 두세마리 키우는 집도 많다는 얘기.
 

그래서 이들에게 동물병원 진료비는 한마디로 공포, 그 자체다. 응답자의 87%가 "반려견 질병 진료비가 비싸다"고 했다.

"병원마다 천차만별이고 특히 수술 비용이나 입원 비용, 엑스레이 검사 비용 등은 사람보다 더 많이 나오는 경우도 많다"고 하니,  심각한 수준.
 

"같은 증상에 병원마다 제공하는 서비스가 다르고, 서비스에 붙이는 가격도 천차만별"(조희경, 동물자유연대 대표)인 상황에서 '과잉진료'를 의심하는 반려인들의 불만이 전혀 근거가 없다고만 할 수는 없다.
 

하지만 1999년까진 동물 의료비도 사람처럼 '표준수가제'가 있었다.

그랬다가 "자유로운 의료행위를 보장해야 한다"는 취지에 따라 폐지됐다.
 

반면 독일은 아직 정부가 질환 항목별로 표준수가를 정하고,

미국은 동물병원협회가 '동물의료비 참고집'을 낸다. 일종의 자율규제형 '가이드라인'인 셈이다.
 

동물의료비체계, 이젠 어떻게든 다시 손 볼 때가 된 것은 아닐까.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