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6 (화)

  •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대전 25.8℃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보은 25.4℃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헬스백과

개가 흘리는 땀, 사람 땀과 종류 다르다?

 

 

【코코타임즈】 개도 사람처럼 땀을 흘릴까? 개는 사람과 달리 땀을 아예 흘리지 않는다고 알고 있는 사람이 많다. 하지만 개도 땀을 흘린다. 단, 사람처럼 체온을 떨어뜨리기 위해 흘리는 땀은 거의 없다. 미국애견협회(AKC) 자료에 기반해 개에게서 분비되는 땀 종류에 대해 알아본다. 

 

 

 

 

개에게는 두 종류의 땀샘이 있다. '메로크린샘'과 '아포크린샘'이다. 메로크린샘은 사람처럼 체온을 떨어뜨리기 위해 땀을 분비하는 샘이다. 그런데 메포크린샘은 발바닥에만 조금 존재할 뿐이다. 더운 날 개가 걸어간 자리에 축축히 젖은 발자국이 남는 것이 이 때문이다. 아포크린샘은 체온저하를 위한 땀이 아닌 페로몬 분비를 위한 땀을 분비한다. 아포크린샘은 개의 몸 전체에 존재하며, 개들은 서로의 아포크린샘에서 분비된 땀 냄새를 맡으며 그들만의 신원을 확인하게 된다.  

 

그렇다면 개는 체온을 어떻게 내릴까? 혀를 내밀고 숨을 헐떡거리는 방식이 주요한 체온저하법이다. 혀에 있던 수분을 증발시키면서 체온을 내리고, 숨을 헐떡이는 과정에서 폐로 공기가 들어오고 나가는 길의 열이 떨어진다. 혈관을 확장시키기도 한다. 특히 얼굴과 귀에 있는 혈관을 확장시키는데, 이로 인해 혈관이 피부 표면에 가까워지면 체온을 내리는 데 도움이 된다.   

 

관련기사

 

한여름, 강아지들 ‘이것’ 만큼만은 조심하자!  바로가기

 

 

더운 여름, 고양이 ‘빗질’ 더 자주 해야 하는 까닭 바로가기

 

 

“발작과 출혈, 사망에도 이를 수 있어요”… 열사병(Heat Stroke) 바로가기

 

 

개가 사람 얼굴 핥는 데에는 다양한 이유 있다 바로가기

 

 

강아지가 사람 발을 자꾸 핥는 이유 뭘까? 바로가기

 

 

증상체크(13) “온종일 핥고 또 핥고… 무슨 문제가 있는 건가?” 바로가기

 

 

 

 

 

 

이미지 출처: Unsplash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