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코타임즈】 유선종양(乳腺腫瘍)은 강아지에게서 발견되는 종양 중에는 2위, 고양이에게서 발견되는 종양 중에는 3위에 꼽힐 정도로 심각한 종양 질환이다. 특히 고양이 유선종양은 악성이 85%이며, 악성 유선종양의 80%는 전이 또는 재발한다. 그에 비해 개 유선종양의 50%는 양성, 나머지 절반은 악성이다. 또 다시 악성 종양의 50%는 전이나 재발 우려가 있다. 암의 원인을 명확하게 밝히지 못하듯 종양도 마찬가지이다. 단순하게 표현할 사안은 아니지만, 추측하는 바로는 비만하거나 발정을 일으키는 호르몬과 관계가 있다고 보고 있다. 개와 고양이의 유선종양은 모두 비슷한 질병으로 수컷보다는 암컷에게서 주로 발생하는데 중성화 수술을 받지 않은 동물 발생 비율이 높다. 또한, 종양의 범위나 크기, 위치 등에 따라 그 예후는 제각각이다. 종양이 발생한 주변 림프절까지 번지고 그 크기가 크다면 수술의 예후는 좋지 못하다. 충남대학교 수의내과학 서경원 교수의 도움으로 반려동물의 건강을 심각하게 위협하는 유선종양의 모든 것을 알아보았다. ▲유선종양도 암처럼 단계별로 구분하나요? 네, 그렇습니다. 유선종양은 크기와 주변 림프절로의 전이 여부, 원거리 전이(주로 폐 전이를 말
【코코타임즈】 반려동물 천만시대다. 반려동물은 이제 동물을 넘어 가족이 됐다. 하지만 반려동물은 동물 특성상 감염성 질환을 전파시킬 위험이 있다. 특히 동물에 의한 감염성 질환은 영유아나 면역력이 약한 노인들이 더 취약하다. 반려동물에 의한 감염성 질환은 교상(咬傷, 물기), 긁힘, 타액, 분뇨 등에 의해서 사람에게 전파된다. 그럼에도 반려동물을 기르는 사람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반려동물과 함께 생활하면서 느끼는 행복감 때문이다. 따라서 전문가들은 반려동물을 기르는 사람은 정기적인 예방접종을 통해 반려동물에 의한 감염성질환 위험을 줄여야 한다고 권고한다. 서울대 수의과대학 김재홍 교수는 “매년 1회 예방접종과 구충제 복용만으로 대부분의 반려동물에 의한 감염성질환 위험은 개선된다”고 말했다. 반려동물 시장은 매년 성장 중이다. 현재 우리나라에 반려동물을 키우는 인구는 이미 1천만 명을 넘어섰다. 앞으로 핵가족화, 노령 인구 및 독신자 증가, 소득 수준 향상 등으로 인해 반려동물 인구는 더 늘어날 것이다. 반려동물은 사람과 접촉이 빈번해 다수의 감염성 질환을 전파시킬 수 있다. 동물에 의한 감염성 병원체는 알려진 가짓수만 250가지에 이른다. 개, 고양이 개
【코코타임즈】 봄 여름에는 동물병원에 복숭아 등 과일 씨를 먹었다는 문의가 끊이지 않는다. 반려동물이 과일 씨를 삼켰을 때, 어떤 위험성이 있고 어떻게 처치할 수 있을까? 작은 씨는 변으로 배출되기도 하지만, 씨 크기가 클 경우에는 문제가 심각해진다. 그래서 과일 씨를 삼켰을 때는 내시경으로 꺼내거나 수술로 제거해야 한다. 특히 씨가 아직 위에 머물러 있거나 복숭아씨를 삼켰을 때는 내시경을 이용한다. 복숭아 씨는 크기가 크지만 씨 주변에 부드러운 과육이 붙어 있어서 내시경으로 제거할 때 위험 부담이 비교적 낮은 편이다. 하지만 자두나 살구씨는 표면이 거칠고 끝이 무척 날카로워서 내시경으로 꺼낼 경우, 식도에 상처를 내거나 예기치 않은 손상을 입힌다. 따라서 자두나 살구씨 등은 수술로 제거하는 경우가 많다. 그렇다면 대변으로 배출되는 경우는 없을까? 비교적 크기가 작은 수박씨 등을 안전하다고 할 수는 없지만, 작아서 변으로 나오기도 한다. 하지만 자두나 살구, 복숭아씨 등은 크기가 커서 변으로 나올 것을 기대하면 안 된다. 오히려 장을 막을 수도 있다. "변으로 나오겠지"라
【코코타임즈】 반려동물 평균 수명이 15년 안팎으로 늘어나면서 반려동물 노령질환도 함께 늘어나고 있다. 특히 안구건조증 녹내장 등 안과 질환의 경우, 아이가 고통을 겪고 있어도 보호자가 모르고 지나가는 경우가 많다. 치료 시기를 놓치기 쉽다는 얘기다. 뉴스1에 따르면, 이런 경우 한방 침술 치료가 반려견들의 안압을 낮춰줄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VIP한방재활의학센터 신사경 센터장(수의사)는 최근 중국 상하이에서 열린 '제21회 세계한방수의학회'에서 '정상 비글견에서 안압을 감소시키는 침자리에 관한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먼저, 녹내장은 눈의 압력을 증가시킨다. 눈의 압력은 눈 안팎으로 흐르는 액으로 조절된다. 이 때 너무 많은 액체가 만들어지거나 너무 적은 액체가 배출되면 눈의 압력은 증가해 망막과 시신경에 손상을 입힌다. 녹내장은 고통스럽고 약 40%의 경우 1년 이내 실명 상태가 된다. 압력 증가 후 몇 시간 안에 치료를 시작하지 않으면 시력이 떨어질 가능성이 큰 것이다. 그는 "최근들어 안압을 낮추는 좋은 약품이 개발되고 있지만, 막상 반려동물들은 대부분 안약을 넣는 것을 무척 꺼린다"며 "이런 경우, 서양의학과 침술이 서로 결합한다면 회복